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三宜堂의 述懷詩 硏究 (A Study on the Poetry of Kim Sameudang on related an effusion of mi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3
18P 미리보기
金三宜堂의 述懷詩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87호 / 35 ~ 52페이지
    · 저자명 : 이정화

    초록

    삼의당은 청렴결백(淸廉潔白)한 가문에 출가(出嫁)하여 살면서 평생 재물에 대한 욕심이 없었으며 시교(詩敎)로써 자신의 마음을 수양하며 살았다는 점에서 그의 생애는 군자의 삶과 다를 바 없었다. 삼의당의 「무제(無題)」 시에 나타난 삼의당의 근심은 오직 노부모(老父母)를 봉양하기 위한 음식이 없는 현실 상황에서 초래된 것이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그는 자신의 머리카락을 잘라서라도 노부모를 봉양하는 것이 옳은 생각임을 보여주었는데 여기에 내재된 굳은 의지가 삼의당 술회시의 핵심이다. 삼의당은 생래적으로 속인(俗人)들처럼 한유(閒遊)한 생활을 누리는 삶에 대해서는 의미를 두지 않고 살았던 시인이었다. 그 한 예를 들면, 농요적(農謠的) 한시 작품인 「(남편이 산의 양지바른 곳에…(夫子於山陽…)」 시에서 삼의당은 손수 농작물을 경작하며 살아야하는 시골 농가(農家)의 현실 체험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그러하다.
    또한 「쌀을 지고 가는 백리 길(百里負米)」을 시제(詩題)로 한 작품에서는 삼의당 부부야말로 가난한 삶 속에서도 항상 선비의 자긍심(自矜心)을 잃지 않고 살았음을 알 수 있다. 삼의당 부부는 가난한 삶에 대한 탄식으로만 인생을 마감하지 않았으며 청빈한 군자의 삶을 묵묵히 실천하였다. 「갑자년 3월 26일에 쓴(「甲子 三月二十六日)」 시에서 삼의당은 가난한 선비에게 다가오는 혹독한 현실을 묵묵히 감당해야 할 일이 적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기도 한다.
    삼의당의 시에는 인생을 살면서 절감하게 되는 삶의 비애감을 실존적 자각으로 극복하는 의지가 투영되어 있다. 삼의당은 유한(有限)한 일생(一生)에 대한 깊은 자각에서 우러난 인생무상(人生無常)의 의취를 형상화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가을밤(秋夜)」 시에서 삼의당은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 경관의 아름다움과 내면에서 우러난 고독감을 대비시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삼의당의 내면에서 우러난 고독감은 실존적 자각에서 기인한 것이다.
    삼의당은 자신의 생활철학을 달관의 마음으로 형상화하고 있으니, 「마음에 품은 생각을 말한(述懷)」 시를 비롯한 그의 작품에는 공명정대(公明正大)한 마음으로 넓고 멀리 내다보는 혜안(慧眼)이 투사되어 있다. 「임술년 겨울…(冬宵…)」 시에 나타난 참 선비의 강인한 정신이란 것은 온갖 세파(世波)에서도 영원히 사라지지 않고 자손만대에 걸쳐 계승되어야 할 소중한 가치로 여겨지고 있다. 삼의당은 대나무의 기상을 관조함으로써 체득할 수 있는 것은 변치 않는 참 선비의 마음이며 이것이 바로 유가(儒家)의 정신세계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시골에 살면서 쓴(村居卽事)」 시를 통해 인생의 이치는 평범한 곳에 깃들어 있다는 사실을 넌지시 일깨우는 작가의 모습이야말로 달관의 시인 그 자체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의하면, 삼의당은 자신의 소회(所懷)를 표출하기에 앞서 관조와 사색으로 과거의 삶을 반추하고 현재의 삶을 절제하며 미래의 삶을 예견하는 자세로 시를 썼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삼의당의 술회시에는 참 선비들이 추구한 시언지(詩言志)의 정신이 무르녹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paper is aims to study of Kim Sameudang's poetry with an effusion of mind. Kim Sameudang's poetry with an effusion of mind expresses his poetical words suggest that she reveals the soundness and the healthiness without sicking at hear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an honest and pure life about Kim Sameudang's poetry. Als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self-awareness for existence itself about Kim Sameudang's poetry. Especially this paper is an attempt to illustrate a philosophical insight into the world and human beings about Kim Sameudang's poetry. She had no earthly desire for wealth during her lifetime. Her heart is reflected in her poetry.
    Her poems show good and honest feelings. She had a heart of gold, and her devotion was more pronounced in her poor life. She practiced hard to study hard. Her poems contain her sincere heart. Also, she thought highly of morality. She overcame her loneliness by writing poems alone. Therefore, she did not fall into grief and despair even if she lived alone. There is a noble disposition in her generos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