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對唐 조공품 속의 頭髮 (Hair among Silla's Tribute to T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2
29P 미리보기
신라 對唐 조공품 속의 頭髮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63권 / 176 ~ 204페이지
    · 저자명 : 이보라

    초록

    본 글에서는 신라의 對唐 조공품 속에 포함된 頭髮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록상 확인되는 당에 대한 신라의 두발 조공 사례는 총 5건으로, 7세기부터 9세기까지 꾸준히 확인된다. 특히 후대로 갈수록 전달하는 두발의 양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신라의 두발이 당에서 가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두발을 활용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髢(체)로 활용하는 것이다. 문헌상 중국에서 체는 周代부터 사용되었다. 이후 점차 머리모양이 화려해짐에 따라 체는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당에서는 高髻(고계)가 유행하면서 체에 대한 수요가 높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라에서는 체의 사용 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없으나, 용강동에서 출토된 토용과 흥덕왕 9년의 비녀 및 빗에 대한 禁令으로 미루어 보아 체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두 번째는 약재이다. 여러 의학서에서 두발은 止血(지혈), 瘡(창), 疽(저), 癎疾(간질)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두발을 약재로 활용하는 기록은 漢代부터 나타나며, 唐代의 의학서에서도 두발을 활용한 처방전이 다수 확인된다. 조선시대 의학서에서도 두발은 약재로 기록되어 있다. 더욱이 조선시대 의학서에 나타나는 두발의 약재적 특성은 당 의학서의 내용과 일치하므로 두발을 약재로 사용하는 것이 오랜 기간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는 당과 빈번히 교류하며 당으로부터 복식 및 의학적 영향을 받았다. 신라가 두발을 당에 바친 시기는 바로 그러한 영향을 받은 이후이다. 그러므로 당에서 두발을 두 가지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 역시 알고 있었을 것이다. 조공품으로써 기재된 두발의 양을 살펴보면, 때로는 체로 만들기에 그 양이 1개 정도에 불과한 경우도 있고, 체의 특징을 명확히 갖췄음에도 체가 아닌 ‘두발’로 전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신라가 당에 조공한 두발의 용도는 한 가지로 고정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즉 신라는 체와 약재라는 두발의 두 가지 용도를 고려하여 그를 원재료로써 당에 바쳤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amines the hair (頭髮) in Silla (新羅)'s tribute to Tang (唐). There are a total of five cases of Silla's hair tribute to Tang confirmed in the record, and it is steadily confirmed from the 7th to 9th centuries. In particular, as time progresses, the amount of hair is increasing, indicating that Silla's hair held value in Tang.
    There are two main ways to use hair. The first is to use it as wigs (髢).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wigs has been used in China since the Zhou (周). Since then, as the hairstyle became more elaborate, wigs have been used more. Especially during the Tang era, with the trend of ‘Go-gye (高髻)’ hairstyles, there would have been a high demand for wigs. While it is unclear whether Silla used wigs, indications from the excavation of clay figurines in Yonggang-dong and the regulations of binyeo (釵) and comb (梳) of King Hyeondeok (興德王) suggest the possibility of wigs usage.
    The second way to use hair is use it as a medicinal ingredient. Several medical books state that hair is effective in hemostasis, abscesses, epilepsy, and other ailments. Records of using hair as a medicinal ingredient appear since the Han (漢), and prescriptions involving hair are confirmed in Tang medical books. Also in Joseon (朝鮮) medical books, hair was documented as a medicinal ingredient, and since those align with the content of Tang medical books, it indicates a prolonged tradition of using hair as medicine.
    Silla had frequent exchanges with Tang and was influenced by Tang in terms of clothing and medicine. The period when Silla tribute hair to Tang aligns with the influence received during that time.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Silla was aware of the two methods of using hair in Tang, as well. When examining the quantity of hair recorded as tribute items, there were cases where only enough hair to make one wig was offered, and despite recording the length to demonstr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g, it was also presented as hair. Therefore, it is speculated that the purpose of the hair offered by Silla to Tang was not fixed to one use. In other words, it is thought that Silla, considering the two uses of hair as wigs and medicinal material, tribute it to Tang as a raw mate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