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唐式 帶裝飾具’ 用語 考察 (Reviewing the Terminology of Tang-style Metal Bel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唐式 帶裝飾具’ 用語 考察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부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고학 / 20권 / 3호 / 153 ~ 175페이지
    · 저자명 : 최정범

    초록

    교구·수공이 부가된 방형 및 반원형의 과판·대단장식으로 구성된 당식 대장식구는 중국 북조대에 외형이 갖추어지기 시작하였으며 당의 건국 이후 율령관인의 신분을 드러내는 허리띠로 기능한다. 이는 당 왕조뿐만 아니라 신라·발해·일본·돌궐에 이르기까지 동북아시아 각국에 확산된다. 이후 당의 멸망을 전후한 시점까지 각국에서 사용된 당식 대장식구는 동일한 형식의 변화과정을 거치다 소멸한다.
    이에 대한 용어는 현재까지 첩섭대·대금구·과대 등으로 일치되지 않고 있으며, 굳이 ‘당식’이라는 수식을 붙여야 하는지에 대한 회의적인 견해도 존재한다. 유물의 용어는 형태와 특징을 잘 드러내 줄 뿐만 아니라, 그것이 사용되고 확산되며 시대상을 명확하게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율령제에 기반한 동북아시아 문화권 속에서 각국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아우를 수 있는 용어가 부각 될 필요가 있으므로, ‘당식 대장식구’라는 명칭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만 당 왕조 자체의 획일적인 기물이 아니라 동북아시아 각국 간의 복합적인 문화적 상호작용을 토대로 다양한 요소가 수용되고 변용된 특수성도 상존함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영어초록

    Tang-style belt ornaments, consisting of chrysanthemum-shapes and belt-end ornaments in squares and semi-circles with sophisticated techniques and handicrafts, began to take shape in the Northern Wei period of China and functioned as a belt showing the status of legal officials after the founding of Tang. These ornaments spread not only in the Tang Dynasty but also to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cluding Silla, Balhae, Japan, and the Turkic Khaganate. The ornaments were used in various countries until the fall of Tang and subsequently disappeared after undergoing changes in form.
    Until now, the terms regarding this type of belt have been used inconsistently, variously referred to as cheopseopdae, daegeumgu, or gwadae, and some scholars are even skeptical about whether the adjective “Tang-style” has to be used. Terms referring to certain artifacts should not only reveal their forms and characteristics, but also clearly disclose the period in which they were used and spread. Given this, since terms that encompass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each country within the Northeast Asian culture based on the legal ranks need to be highlighted, the term “Tang-style belt ornaments” sh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However, we must keep in mind that it was not an unchanging object of the Tang Dynasty but was subject to complex cultural interactions between Northeast Asian countries, and that there was a range of specificities in which different elements were accepted and transfor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