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차운시(次韻詩) 연구 (A study on the rhyme-borrowing poems of "Jegayasandokseoda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7.08
26P 미리보기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차운시(次韻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6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노성미

    초록

    본 연구는 최치원(857-?)의 은둔지인 가야산 홍류동의 시석(詩石)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문화경관과 <제가야산독서당> 차운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치원은 가야산에 입산하여 독서당에 은거하면서 이 시를 짓고 계곡의 암반에 새겼다. 독서당과 시석(詩石)은 홍류동 경관에 상징을 부여하고 최치원에 대한 기억을 확대 재생산하는 기능을 했다.
    본 연구는 홍류동에 대한 현장조사와 이를 둘러싼 문헌고증을 통해 <제가야산독서당> 시석에 대한 학계의 오류를 바로 잡았다. 시석의 정확한 존재 양태를 정의하기 위해 <가야산유람록> 등의 기행문과 가야산을 읊은 시, 『동국여지승람』 등의 지리지를 참고하였다. 홍류동에는 <제가야산독서당> 시석이 두 개 있다. 원 시석은 최치원 필적으로서 현재 치원대(致遠臺)로 불리는 곳에 해서체로 새겨졌다. 이 시석은 오랜 세월을 지나며 글자가 마멸되어 네 글자 정도만 알아볼 수 있었던 상황이 16세기 문헌까지 확인된다. 이후 우암 송시열이 초서체로 시를 다시 썼고 이것이 농산정 건너편 석벽 시석이다. 해인사 승려 중에 바위에 글씨를 새기는 각승(刻僧)이 있었다.
    지금까지 확인된 <제가야산독서당> 차운시는 60여 편이다. 문집에 전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농산정 현판과 홍류동의 바위에도 14편이 전한다. 가야산 문화경관에 대해 읊은 수많은 시 중에서 <제가야산독서당> 차운시는 최치원의 시석(詩石)을 창작의 원천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시에는 최치원에 대한 인식과 홍류동 문화경관을 바라보는 태도가 잘 나타난다. 차운시는 홍류동 경관을 바라보는 태도와 은둔의 가치에 대해 표현한 것으로 크게 분류된다. 경관을 바라보는 태도는 객관세계로서의 홍류동의 자연과 선계(仙界)로 표상되는 관념적 경관으로 구분된다. 첫째 유형은 홍류동의 아름다운 풍경을 구체화하고 최치원의 선화(仙化)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다. 은둔의 가치에 대한 표현은 은둔에 대한 공감의 태도와 비판의 태도를 드러낸 것으로 구분된다. 이들 차운시는 시석과 홍류동 문화경관에 대한 해석이며 최치원의 은둔에 대한 의미 해석과 최치원에 대한 기억의 재생산에 기여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cultural landscape of Hongryudong valley in Gaya Mountain, Choe Chi-won’s(857-?) seclusion place, and rhyme-borrowing poetry of <Jegayasandokseodang>. He entered the Gaya Mountain, lived in the reading house, wrote this poems and engraved them on the rock of the valley. The reading house and the poetry stone gave a symbol to the Hongryudong scenery and expanded and reproduced the meaning of Choe Chi-won.
    In this study, the academical errors were corrected about the existence pattern of his poetry stone. The scenery of the poetry stone was researched through travel pieces like Gayasanyuramrok, the poetry for Gaya Mountain, the literature such as Dongkukyeoziseungram and field trips. Choe Chi-won’s handwritten poetry stone is a rock called Chiwondae and it was carved in the squar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It is confirmed by the literature in the 16th century that the letters have been worn out in the strong valley water for many years and only four letters have been recognized. After that, Wooam Song Si-yeol again wrote a poem in the cursive style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and this is the poetry stone at opposite hill of Nongsanjeong. It was confirmed in the literature that there have been an engraver among Haeinsa monks.
    It is confirmed until now that there be about 60 rhyme-borrowing poems of <Jegayasandokseodang>. Most of them are in collections of works, and 14 pieces are found in the Nongsanjeong board and the rock of Hongryudong. The creation of rhyme-borrowing poems starts with the recognition of Choe Chi-won and Hongryudong cultural landscapes. The characteristics of rhyme-borrowing poem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expression for the aesthetic sense of the Hongryudong landscapes and recreation for the seclusion consciousness contained in his original poetry. The expression for the aesthetic sense about natural sceneries is represented by a fairyland. This is the result of embodying the beautiful Hongryudong sceneries and reflecting the perception that he became a hermit. The poems recreating the seclusion consciousness of <Jegayasandokseodang> express the sympathy of the poet facing the Hongryudong landscapes for Choe Chi-won. Therefore, rhyme-borrowing poems are interpretations for the Hongryudong cultural landscapes and the later interpretation for his secl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