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武王代 渤海의 對日本外交 開始에 對한 再檢討 -大門藝의 對唐亡命 時期와 渤海 · 新羅 國境問題를 중심으로- (Review on the beginning of Balhae(渤海)’s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日本) during King Mu(武王)’s reign - A study on the exile period of TaeMunye(大門藝) to the Tang(唐) and the boundary issue between Balh)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9
33P 미리보기
武王代 渤海의 對日本外交 開始에 對한 再檢討 -大門藝의 對唐亡命 時期와 渤海 · 新羅 國境問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03호 / 229 ~ 261페이지
    · 저자명 : 김진한

    초록

    발해 무왕은 727년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다. 학계에서는 발해의 대일본외교 배경이나 목적과 관련해 흑수말갈문제로 촉발된 당과의 갈등이 대문예의 대당망명으로 심화되었으 며, 신라와의 대치로 발생한 국제적 고립상황에서 발해는 이를 타개하고 당과 신라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일본에 사신을 파견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장에 의문을 가지며 근거가 되었던 대문예의 대당망명 시기와 발해 · 신라의 국경문제를 중심으로 다시 살펴보았다.
    먼저, 대문예의 망명시기를 언제로 보느냐에 따라 발해와 당관계는 물론 당시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도 달라진다. 이에 일부 자료를 추가 분석하여 망명시기를 재검토한 결과, 대문 예는 729년에 망명한 것으로 추정했다.
    다음으로 무왕대 발해는 압록강 하류유역으로부터 두만강 하류유역까지를 그 영역으로 하였다. 신라는 대략 예성강을 중심으로 한 황해도 남부일대를 서북 경계로 하였으며 강원도 원산시와 문천시 일대를 동북 경계로 삼았음을 확인했다. 경계선으로 볼 때, 발해와 신라의 군사적 대립은 확인하기 어려웠다. 신라가 이 일대를 중심으로 축성을 벌였지만 발해 견제가 주목적이라기보다는 통상적인 국경에 대한 방비와 지방통치체제의 정비였던 것으로 파악했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발해는 727년 당시 대당외교에 진력하였으며, 국제적으로 고립되 지도 않았다. 발해가 대일본외교를 개시한 목적은 국서 내용 그대로 선린관계를 맺는 데 있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King Mu sent an envoy to Japan in 727. In academia it is thought that, the conflict with the Tang triggered by the Heuksumalgal(黑水靺鞨) problem deepened into the exile of TaeMunye to the Tang and in the international isolation situation caused by the confrontation with Silla, Balhae overcame it by sending envoys to Japan to counter the threat of Tang and Silla. This is seen a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Balhae’s diplomacy with Japan.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t the time as well as the relations between Balhae and the Tang varies depending on when Taemunye fled to the Tang. As a result of further analysis of some data and reexamination of the time of asylum, the exile of Taemunye to the Tang was presumed to be after 729, not 726.
    Next, Balhae’s territory during King Mu’s time was from the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to the lower reaches of the Duman River. Silla’s northwestern border was the southern part of Hwanghae province, centering on the Yeseong River, and the northeastern border was Wonsan City and Muncheon City in Gangwon Province.
    Given the borderline at the time, military confrontation between Balhae and Silla was difficult to confirm.
    Through the above review, we can see that around 727 Balhae was committed to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Tang and was not isolated internatio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purpose of Balhae’s initi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was to build a good relationship as it is recorded in the diplomatic document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