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 기억을 통해 드러나는 18세기 사대부의 여성상 -서당(西堂) 이덕수(李德壽)의 어머니, 아내, 딸을 중심으로- (The Women Image in the 18th century illustrious official’s memory -Seodang(西堂) Lee, Ducksoo(李德壽)’s mother, wives, and daught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07.06
31P 미리보기
1. 기억을 통해 드러나는 18세기 사대부의 여성상 -서당(西堂) 이덕수(李德壽)의 어머니, 아내, 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겨레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겨레어문학 / 38호 / 79 ~ 109페이지
    · 저자명 : 강성숙

    초록

    18세기 남성 문인의 문집에 나타난 여성에 관한 기록은 기본적으로 1) ‘여성’에 관한 ‘남성의 기록’이라는 것과 2) ‘죽은 여성’을 ‘추모’하는 글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그런데 여성의 실제 경험은 남성이 기억해낸 그 삶의 내용과는 다를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살필 수 있는 것은 여성 삶의 실상이라기보다, 남성사대부의 여성인식이 될 것이다. 또한 대상으로 하는 기록은 죽은 이를 추모하는 성격의 글이 대부분이므로, 이를 통해 살아있는 이가 친밀한 이들의 죽음을 통해 기억하고 강화하고 싶었던 지점이 무엇이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18세기 문인 이덕수의 경우 어머니나 아내를 떠올리면서 꺼내는 애도의 언어에는 그가 가정이라는 공간에서 꿈꾸었던 여성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다. 그가 여성을 드러내는 방식은 양식화된 전범과는 거리가 있으며 여성에 대한 평가 역시 일반적인 여성 칭송의 어법과는 다르게 표현하고 있다. 그는 효성스러운 딸의 ‘총명함’을 더 주목했고, 따르기만 하는 아내보다 이끌어주는 인도자로서의 아내를 동경했으며, 한 집안의 가장으로 친척과 이웃에게 칭송받는 어머니의 존재를 부각했다.
    이덕수가 기억해낸 여성에는 분명 그가 바랐던 명민하고 강인한 여성의 모습이 투영되었다고 보인다. 그렇지만 일방적이고 제한적인 개인의 기억이 정서적 충족감을 넘어 다음 세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담론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의 기억의 교환과 공유가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본다.

    영어초록

    The records regarding the woman who appears in the collection of works of literary man in the 18th century are basically with the fact that 1) it is a recording of the male regarding woman, 2) which cherishing the memory of a deceased women. However the actual experience of the woman may be different with the memory which male carries through. It will reach consequently which not the real image of woman life but the woman recognition of the male illustrious official. Also recording which it does in the object mostly that cherishes memor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e what these people wanted to remembers and strengthen by these records.
    a literary man in the 18th century, Ducksoo-Lee(李德壽)’s lamentation is related to the image of woman that he dreamed. The method where he distinguishes the woman pattern which is formulated and the evaluation regarding the woman is different as well. He paid not attention to the daughter is devoted to her parents but to the ‘bright’ daughter. And he has longing for the wife lead him, not the obedient wife. And then he emphasized the mother who is praised the existence as a head of a family, of one household the relative and in the neighborhood.
    Ducksoo-Lee(李德壽)’s memory reflect the sagacious woman who has tough spirit. It is necessary that the one sided and restricted individual the memory go over the hazard which operates in the discussion which is the possibility effect of going mad to the next generation the exchange and joint ownership of memory of the male who stands and the woman are important role it se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겨레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