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知退堂 李廷馨의 16세기 士禍史 정리 작업과 그 의미 -『黃兎記事』‧『壽春雜記』를 중심으로- (Jitoedang(知退堂) Lee Jeong-hyeong(李廷馨)'s 16th-century Sahwa(士禍) Record Work and its Meaning -Focused on 『Hwangtogisa(黃兎記事)』‧『Suchunjabgi(壽春雜記)』-)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12
48P 미리보기
知退堂 李廷馨의 16세기 士禍史 정리 작업과 그 의미 -『黃兎記事』‧『壽春雜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96호 / 31 ~ 78페이지
    · 저자명 : 정용건

    초록

    본고는 知退堂 李廷馨(1549~1607)이 수행한 16세기 士禍史 정리 작업과 그 史的 의미에 대해 살핀 글이다.
    16세기에 발발한 己卯士禍와 乙巳士禍는 당대의 사류들에게 커다란 충격과 좌절을 가져다 준 사건이었다. 그렇기에 이들은 피화인을 대상으로 한 지속적인 복권‧추숭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나아가 사화의 전말을 자신들의 관점에서 다시 기록하는 역사서 서술에 힘을 기울였다. 이정형 역시 그러한 의지를 지닌 인물 가운데 한 명으로서, 春川에 우거하고 있던 1599년 『黃兎記事』와 『壽春雜記』를 집필하여 16세기의 문제적 사화를 재정리하였다. 『황토기사』는 기묘사화 피화인 관련 내용을 傳記 형식으로 기록한 것으로서, 이전에 나온 金正國의 『己卯黨籍』과 安璐의 『己卯黨籍補』를 기반으로 하되 체재와 내용 면에서 이를 대폭 수정‧보완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또한 『수춘잡기』는 을사사화 피화인에 대한 현양과 小尹 세력에 대한 역사적 단죄를 위해 지어진 저작이다. 이 두 책은 당대까지 나온 16세기 사화 관련 역사 기록 가운데 가장 완정한 형태로 다듬어진 저술이다.
    『황토기사』와 『수춘잡기』는 후대 문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참고되며 그들의 역사 인식 및 저술 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金堉의 『己卯諸賢傳』은 체재와 내용 모두에서 이정형의 『황토기사』를 상당 부분 수용해 찬술한 정황이 뚜렷이 발견되며, 李肯翊의 『燃藜室記述』 및 기묘사림의 문집 또한 『황토기사』의 내용을 사실 기술의 주요한 근거로 활용하였음이 확인된다.
    이상과 같은 지점에서 이정형의 『황토기사』와 『수춘잡기』는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정리된 16세기 사화사 관련 저작으로서, 후대의 사화 인식 형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고 일컬을 수 있다. 그의 저술이 존재했기에, 조선의 문인들은 정치적 격변으로 인해 현실의 꿈을 접거나 미뤄두어야 했던 선배들에 대한 구체적인 像을 뚜렷이 정립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16th-century sahwa(士禍) record work performed by Jitoedang(知退堂) Lee Jeong-hyeong(李廷馨, 1549-1607) and its historical meaning.
    Gimyo-sahwa(己卯士禍) and Eulsa-sahwa(乙巳士禍), which occurred in the 16th century, were events that brought great frustration and shock to the scholars of the time. Therefore, they continued to work on restoration of the victims, and furthermore, they devoted their efforts to writing history books that re-recorded the whole story from their own point of view. Lee Jeong-hyeong, also one of those who had such a will, reorganized the problematic social affairs of the 16th century by writing 『Hwangtogisa』 and 『Suchunjabgi』 in 1599 while staying in Chuncheon(春川). 『Hwangtogisa』 is a biographical record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victims of the Gimyo-sahwa. It is based on Kim Jeong-guk's 『Gimyodangjeok(己卯黨籍)』 and Anro(安璐)'s 『Gimyodangjeokbo(己卯黨籍補)』, but was described in a way that greatly modified and supplemented them in terms of format and content. And 『Suchunjapgi』 is a work written for the memorial of the victims of the Eulsa-sahwa and the historical condemnation of the Soyun(小尹). These two books are the works that have been refined in the most complete form among the historical records related to the 16th-century sahwa.
    『Hwangtogisa』 and 『Suchunjapgi』 were continuously referred to by later writers an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historical awareness and writing activities. In particular, Kim Yuk(金堉)'s 『Gimyojehyeonjeon(己卯諸賢傳)』 is clearly found to have accommodated and wrote a considerable part of 『Hwangtogisa』 in both format and conten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Hwangtogisa』 were used as the main basis for historical description in several other materials.
    For these reasons, Lee Jeong-hyeong's 『Hwangtogisa』 and 『Suchunjapgi』 are the works related to Sahwa record in the 16th century, which were compiled relatively early, and can be said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the perception of Sahwa in later generations. Because of his writings, Joseon's literary men were able to clearly establish a concrete image of their predecessors who had to put off their dreams of reality due to political upheaval. Furthermore, it provided a practical basis for our current awareness of soci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