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말선초 노당(蘆堂) 심덕부(沈德符)의 활동과 역사적 의미 (The activitie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Nodang(蘆堂) Sim Deokbu(沈德符))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10
38P 미리보기
여말선초 노당(蘆堂) 심덕부(沈德符)의 활동과 역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32권 / 147 ~ 184페이지
    · 저자명 : 하정승

    초록

    심덕부(沈德符: 1328-1401)는 본관은 청송(靑松)이며 자는 득지(得之), 호는 노당(蘆堂) 혹은 허강(虛江)이다. 그는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조선후기의 학자 이덕무(李德懋)는 그의 저서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서 고려조와 조선조 양조(兩朝)에서 모두 ‘상신(相臣)’을 역임했던 자는 배극렴(裵克廉: 1325-1392)과 심덕부 단 두 명뿐이라고 언급하였다. 이긍익(李肯翊) 역시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서 태조조(太祖朝) 상신 5명을 언급하면서 배극렴, 조준(趙浚), 김사형(金士衡), 정도전(鄭道傳)과 더불어 심덕부를 거명하고 있다. 이는 그만큼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심덕부의 비중과 역할이 컸음을 말해준다.
    심덕부의 정치적 활동은 크게 고려조와 조선조로 나눠볼 수 있으며, 고려조에서의 활동은 음직(蔭職)으로 처음 출사한 이후 우왕대(禑王代)에는 서해도원수(西海道元帥)가 되어 왜구의 침입을 막았고, 특히 1380년의 ‘진포대첩(鎭浦大捷)’에서는 총사령관으로 승리를 이끌었으며, 1388년 요동 출병 때에는 서경도원수(西京都元帥)로서 조민수(曺敏修)가 이끄는 좌군에 속하였는데, 이성계가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回軍)할 때 적극 동조하여 이후 정국(政局)의 주요 인물로 부상하였다. 이성계가 소위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을 내세워 ‘폐가입진(廢假立眞)’을 추진하며 창왕을 몰아내고 공양왕을 옹립할 때 정도전(鄭道傳), 정몽주(鄭夢周)등과 더불어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이른바 ‘흥국사(興國寺) 9공신’의 핵심이었다. 이같은 공로로 그는 공양왕 즉위 이후 문하시중(門下侍中),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등 최고위 관직을 역임하면서 정계의 핵심으로 활동하였다. 1392년 조선조가 개국한 이후에는 위화도회군을 도왔던 인물들을 봉할 때 ‘회군공신(回軍功臣)’ 1등으로 추록되며, 청성백(靑城伯)에 봉해졌다. 또한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책임자가 되어 한양으로의 천도를 기획하고 신도시 건설을 주관한 이가 심덕부였으며, 태조대에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 영삼사사(領三司事), 정종대에 좌정승(左政丞)을 역임했던 사실은 그가 조선초기 정치사에서도 주요 역할을 맡았음을 말해준다. 그는 정치가로 재임하면서 각종 제도의 개혁을 건의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는 관찰사제를 폐지하고 안렴사제를 부활할 것, 제사(諸司)의 사무를 도당(都堂)에 직접 보고하고, 각 관청에서 재정을 집행할 때 도당에 그 결과를 보고하여 도당의 역할을 강화할 것, 자섬저화고(資贍楮貨庫)의 폐지 등을 들 수 있다.
    심덕부의 사상과 정치적 활동을 살펴보는 것은 폭풍과도 같았던 여말선초의 역사를 되짚어보는 작업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시대의 중심에 서있었던 심덕부라는 인물을 통해 미처 놓친 역사적 이면과 총체적 면모를 살피는 것이 심덕부 연구가 갖는 미덕이자 의미일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심덕부의 생애와 성품을 통해 그의 학문적 연원과 사상 형성의 단초(端初)를 고찰하고, 정치적 활동을 고려조와 조선조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여말선초 정치사에서 차지하는 그의 위상과 그 의미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Sim Deokbu(沈德符: 1328-1401)’s family origin is Cheongsong(靑松), his other names are Deukji(得之), Nodang(蘆堂), Heo Gang(虛江). He is a very important figure in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In his book 'Cheongjanggwan Jeonseo(靑莊館全書)', the scholar Lee Deokmu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stated, “In both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only two individuals, Bae Geukryeom(裵克廉: 1325-1392) and Sim Deokbu, held the position of Chief State Councillor.” Lee Geungik(李肯翊), in the 'Yeonryeosilgisul(燃藜室記述),' also mentioned five Chief State Councillors who served King Taejo, including Bae Geukryeom, Jo Jun , Kim Sahyeong, and Jeong Dojeon, along with Sim Deokbu.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t importance and role of Sim Deokbu in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Dynasty.
    Sim Deokbu's political activiti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e Chosun period. Examining his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period, he served as the 'Commander of the Western Sea Province,' successfully repelling Japanese invasions. Particularly in the 'Battle of Jinpo(1380),' he led the victory as the overall commander. In 1388, as the 'Commander of the Western Capital Province,' he actively supported Lee Seong-gye's 'Wihwado Rebellion(威化島 回軍)’' and rose to prominence as a key figure in the early Chosun Dynasty. He also planned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to Hanyang and was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During the reign of King Taejo, he held positions such as 'Director of the Ministry of Personnel' and 'Chief of the Three Bureaus,' and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ng, he served as the 'Chief State Councillor of the Left.' This indicates that h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arly Chosun political history.
    Sim Deokbu proposed various reforms during his tenure as a politician. A prime example is the abolition of the Observational Bureau,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Dodang(都堂), and the abolition of the Jasumjeohwago(資贍楮貨庫). Therefore, examining his ideology and political activities entails a review of the tumultuous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eriods. It can be said that understanding Sim Deokbu's life and character, and investigating his scholarly roots and the origins of his ideology, is an essential aspect of exploring the comprehensive aspects of the historical flow through the central figure of that era. In this paper, we seek to shed light on Sim Deokbu's position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Chosun political history by examining his life, character, scholarly origins, and the formation of his ideology, differentiating his political activities during the Goryeo and Chosun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