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세기 한시 수사법의 일면: 무하당(無何堂) 홍주원(洪柱元)을 중심으로 (A Facet of 17th Century Chinese Poetry rhetoric -Focused on Muhadang(無何堂) Hong Ju-won(洪柱元))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9
29P 미리보기
17세기 한시 수사법의 일면: 무하당(無何堂) 홍주원(洪柱元)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수사학 / 47호 / 155 ~ 18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우

    초록

    본고는 17세기에 활동한 무하당(無何堂) 홍주원(洪柱元, 1606~1672)의 한시를 통해 17세기 한시 수사법의 일면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는 시풍을 특정하기 어려운 문제적 시기이기도 하며, 18세기 시단 변화의 발단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17세기의 경우는 다양한 계층의 개별 작가들의 연구가 보다 집적되어 외연을 확장시킬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홍주원이라는 인물에 주목했다.
    홍주원은 시인으로서의 재능과 능력을 당대와 후대에서 충분히 인정을 받고 있었다. 이에 18세기 혁신적 변화에 앞서 시풍의 다양성과 개성이 태동하던 17세기에 활동하며 2,000여 수가 넘는 한시를 남긴 그의 작품을 감정 표현의 방식, 조어(造語), 구성 등의 수사법을 고찰함으로써 17세기 수사법의 일면을 논의해 보고자 했다.
    홍주원이 사적으로 창작한 한시의 특징을 갈음하자면 크게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수사적 기교를 통한 일상어의 문학적 형상화이다. 첫 번째로, 전고(典故)의 활용이 적다는 것이다. 혹 전고를 활용했다 하더라도 그 단어가 지닌 배경적 사건에 대한 이해 없이 시인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에 무리가 없었다. 두 번째로 벽자(僻字)나 어려운 표현들보다 일상에서 흔히 쓰는 쉬운 글자를 위주로 조어(造語)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일상적인 언어를 수사학적 기교로 단련하여 문학적 언어로 재탄생 시킨 전형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표현으로 여러 의미가 파생되기도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러나 홍주원 한시의 경우 독자의 입장에서 감상의 자율성을 부여하되 시인의 중심적인 의도를 벗어나 오독하는 가능성을 최소화 시키고자 하는 수사법을 구현하고 있다.
    두 번째로 회화적·감성적 수사 등 당시풍의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시인에게 포착된 경물들을 다양한 표현기법들을 통해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사물과의 대비를 통해 극대화 시켜 표출하고 있는 측면에서 감성적 특징이 돋보인다. 이러한 경향성은 홍주원 한시의 연원이라고 할 수 있는 이정구를 위시한 외가에서의 유년 시절 수학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a facet of the prosodic framework within 17th-century Chinese poetry, specifically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poetic corpus authored by Muhadang Hong Ju-won(洪柱元, 1606–1672), a prominent figure of that era. The 17th century presents a multifaceted challenge in terms of delineating an unequivocal trajectory in poetic trends, yet it stands as a pivotal epoch instigating the transformative shifts observed in 18th-century poetic paradigms. Within the contextual parameters of the 17th century, there arises a necessity to conflate scholarly inquiries across diverse strata of individual poets, thereby amplifying the horizons of scholarly comprehension. Mindful of these considerations, this exposition is predominantly oriented toward the comprehensive appraisal of Hong Ju-won.
    Hong Ju-won was hailed for his poetic acumen and aptitude both contemporaneously and in ensuing periods. Accordingly, the present discourse delves into the expansive body of his compositions, encompassing a formidable anthology of over 2,000 poems, predominantly authored during the 17th century. This temporal juncture bore witness to the burgeoning proliferation of heterogeneous and distinct poetic idioms, presaging the subsequent innovative trajectories of the 18th century. Through meticulous dissection of his oeuvre encompassing aspects of emotive articulation, novel semantic constructs, structural formations, and allied prosodic techniques, the current study seeks to engage in a scholarly dialogue pertaining to a specific facet of the 17th-century prosodic framework within poetry.
    Two salient attributes characterize the poetic opus crafted by Hong Juwon. Foremost, it encapsulates the literary transmutation of vernacular language through adroit prosodic craftsmanship. Noteworthy is the scant recourse to classical allusions; even when invoked, these allusions do not impose onerous hurdles in deciphering the poet's intended meanings, owing to the limited reliance on contextual historical events. Additionally, the corpus predominantly integrates commonplace and uncomplicated logographs, eschewing obscure lexical entities or intricate syntactical configurations. This constitutes a quintessential illustration of the paradigmatic process whereby everyday vernacular metamorphoses into a literary dialect, buoyed by the scaffolding of prosodic techniques. This creative metamorphosis inherently ushers in manifold connotations within a single locution, thereby engendering a multiplicity of interpretative nuances. It is, however, imperative to underscore that the poetic compositions of Hong Juwon are characterized by prosodic strategies that not only afford readers interpretative autonomy but also curtail the prospects of misapprehension, thereby orchestrating a harmonious equilibrium between reader agency and the preservation of the auteur's central intentions.
    A secondary discernment emerges within these poems in the form of prevailing stylistic inclinations emblematic of the era, imbued with vividness and emotive resonance. The poet adeptly captures the essence of depicted scenes through an array of expressive modalities, thereby heightening affective resonances via deliberate juxtapositions with the portrayed subjects. This dimension serves to accentuate the emotional tenor inherent within the poetic corpus, with resonances of this stylistic tenor traced back to the poet's early mathematical pedagogy, a pedagogical trajectory catalyzed by his maternal line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수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