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붓다 재세 시 율(律)에 관한 이견(異見)- 데바닷다의 오법(五法) 중심 - (Different views of Vinaya(律) at the time of the Buddha- Focusing on Devadatta's five rules(五法) -)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06
29P 미리보기
붓다 재세 시 율(律)에 관한 이견(異見)- 데바닷다의 오법(五法) 중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6호 / 109 ~ 137페이지
    · 저자명 : 양숙현(설민)

    초록

    계율이란 출가자가 반드시 수지(受持)해야 하는 것으로 일상생활 전반에 필요하다. 율장을 제정한 목적은 십구의(十句義)로서 승가를 거두어 정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려는데(令法久住)에 있다. 붓다 재세 시 불교도들에 의한 계율수지가 정법(淨法 kappa)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것이 어떻게 변용되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간혹 선학들의 연구에서 ‘정법(淨法)’을 ‘편법’이라 하여 폄하되어지고 있지만, 이는 율에 대한 인식에 있어 오해가 있기 때문에 부처님 당시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법(淨法)은 출가자가 각 지역 환경에 적합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변화하고 수용된 율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붓다 재세 시 데바닷다 오법에 대한 붓다의 대답을 정법적 관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데바닷다 오법은 붓다 만년에 데바닷다가 제안한 것으로 당시 승원화의 안락한 생활을 하는 비구들에 대하여 비판한 엄격한 규정이다. 이 오법은 평생 삼림주자(森林住者), 걸식자(乞食者), 분소의(糞掃衣)자, 수하주좌(樹下住座), 어육금지(魚肉禁止)로 생활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이에 대한 붓다의 대답은 수행자가 원할 경우 삼림주자가 되거나, 촌락에 거주해도 되며, 걸식자가 되거나, 초대를 받아도 되며, 분소의를 사용하거나, 거사의를 착용해도 되며, 8개월 동안 나무 밑에서 좌와(坐臥)할 것을 허락하며, 의심이 가지 않는 세 가지 점에서 청정한 생선과 고기를 허락한다는 내용으로 보다 유연한 방식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서 데바닷다의 견해는 자이나교 등의 엄격주의 내지는 고행주의에 부합한 엄격한 수행을 표방하였고 붓다의 중도주의적 입장과는 대립임을 확인할 수 있다.
    현대 동북아 대승(大乘)지역 불교도들의 지향하는 계율은 초기의 엄격한 규율인 분소의, 걸식, 수하좌, 진기약의 사의법과 흡사한 데바닷다 오법의 내용과 상통하고 있는데 율장에 전하는 붓다의 대답이 예외규정도 인정하여 유연성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직시한다면 이는 다시 생각해 볼 문제이다.
    인도라는 불교 탄생지에는 현재 불교 유적만이 남아있을 뿐이며, 대승불교계로 넘어오면서 승가원칙인 사의법(四依法)과 비슷한 데바닷다 오법이 정법이 되어 전해서 이어져오고 있다. 불제불개변(佛制不改變)의 원칙인 율에 의한 것이 아닌 실질적 승가생활은 지역과 환경에 맞게 변형유지 될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대승불교권에 맞게 지역적, 환경적으로 변하여진 청규(제2율장)에 의한 화합승의 공동체 생활도 또한 적합하게 수용된 불법(佛法) 또는 정법(淨法)이라 할 수 있다. 만약, 현재의 불교 출가자의 의식주와 관련된 규정을 편법으로 간주하여 부정해 버린다면 각 지역의 다양한 불교의 수행자들은 존재의 가치를 잃어버린다. 그러므로 각 지역 환경에 맞게 이어지고 있는 불교 수행은 이렇게 정법(淨法)으로 면면히 이어져 내려 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Buddhist Precepts are rules that Buddhist monks and nuns must observe in their everyday lives and the establishment of precepts proved to be worthwhile as defiled Dharmas appear.
    In this paper, I examine the observance of precepts by as ‘Kappa(pure dharma, 淨法)’ at the time of the Buddha and how it has been changed.
    Therefore,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figure out the original meaning of it in the Buddha's life. Kappa(淨法) has been changed and accepted so that the Buddhist monks and nuns can live appropriately in their local environment.
    Also, I would like to interpret the Buddha's answers to Devadatta's five rul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re dharma.
    The Devadatta's five rules was proposed by Devadatta in Buddha's later years and criticized the bhikkhus who lived a comfortable life in monasteries at that time.
    The five rules stipulate that bhikkhus should dwell all their lives in the forest, rely entirely on begging for arms, wear only robes made of discarded rags, dwell only under a tree, and not eat fish and meat.
    The Buddha's answer is : Whoever wishes, let him dwell in the forest; let him dwell in the neighbourhood of a village; let him rely on begging for alms; whoever wishes, let him wear robes made of discarded rags; whoever wishes, let him wear householder's robes; sitting or lying under a tree is permitted for eight months ; I allow bhikkhus to eat fish and flesh that are pure in respect of three unsuspecting condieions.
    Here we can see that the Devadatta's five rules accord closely with draconianism or asceticism such as Jainism and come into conflict with the position of the Buddha's middle way.
    The precepts of Buddhists in modern in Mahayana Buddhism are in line with the five rules of the Devadatta, whic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strict ‘the four reliances(四依止)’ of early Buddhist Sangha, such as wearing robes made of discarded rags, eating by begging for arms, dwelling under trees, and using medicine made from the putrid urine of cattle. But since the Buddha's position on the precepts shown in ‘Vinaya-Pitaka(律藏)’ is flexible as well as admitting exceptions, we need to think again about this issue.
    At present, only Buddhist ruins remain at the site of Buddhism in India which is known as the birthplace of Buddhism. As original Buddhism has moved on to Mahayana Buddhism, especially in Northeast Asia, it had no other recourse but to be transformed and maintained in accordance with the region and the environment. This can also be called legalized 'Buddha Dharma(佛法)' or 'Pure Dharma(淨法)'.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