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산성 출토 칠갑 명문 해석 - 이현숙·양종국의 백제 제작설에 답하여 - (The Inscription on the Lacquered Leather Armor from Gongsanseong Mountain Fortress - Reply to Lee, Hyun-sook · Yang, Jong-kook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9.12
28P 미리보기
공산성 출토 칠갑 명문 해석 - 이현숙·양종국의 백제 제작설에 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3호 / 169 ~ 196페이지
    · 저자명 : 이태희

    초록

    2019년 4월 공주대학교박물관은 공산성 출토 칠갑의 보존처리 결과를 공개했다. 추가로 확인된 자획과 파편의 접합을 통해 명문의 실체에 다가갈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공주대학교박물관 이현숙·양종국은 새롭 게 밝혀진 명문을 바탕으로 다시 백제 제작설을 제기하였다. 이에 명문의 전모를 해석하고 백제 제작설을 검토해 보았다.
    이현숙·양종국은 칠갑의 명문을 고구려 원정 중인 태종에게 갑옷을 선물하는 ‘국가적 의례’를 치르고 이 를 기록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개주의 설치 일자(645년 6월 3일)에 대한 고려 없이 칠갑의 일자(645년 4 월 21일)를 근거로 익주를 개주로 판독한다거나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 ’(下裳)을 郡이나 群의 이체자 로 파악하는 오류를 범하였다. 그리고 당에는 황칠 철갑을 보내고 그 기록을 옻칠 피갑에 남겼다는 것이나, 주장대로라면 당과의 우호 관계를 보여줄 수 있는 갑옷임에도 마치 종묘의 기물인 듯 항복 시점에 폐기하 는 의례를 치르고 감추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설정이다. 이밖에도 백제가 자국의 기록물에 당의 연 호를 사용했다거나 백제에서 행수법을 실시했을 수 있다는 가정은 지금까지의 백제사 연구 결과와도 부합 하지 않는다.
    칠갑 명문은 당령 규정에 근거한 제작 주기이며, 내용은 제작지, 제작소, 제작 담당자, 감독관, 갑옷의 구조, 일자이다. 제작지는 익주이며, 담당관의 관명은 모두 당의 관제로 일개 도독부의 문서행정 계통에 따라 기입되었다. 아울러 산관·직사관·훈관의 병렬방식이나 행수법의 적용 등은 당의 관제가 아니고서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다. 그리고 연호 역시 당의 연호이다. 따라서 칠갑의 제작지는 당일 수 밖에 없다.
    명문은 칠갑이 당의 제작품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칠갑의 가치는 정확한 이해에 기초해야 하며, 명문의 정확한 해석은 그 출발점이다. 명문의 석독은 도외시한 채, 백제 갑옷으로 전제하고 끼워 맞추기식의 가설을 제시하는 것은 오히려 칠갑이 지닌 가치의 발견과 연구의 진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자 발굴성과를 무색케 만드는 일이 될 것이다. 남아있는 칠갑의 명문 전모가 확인된 만큼 이제는 유구로 칠갑의 국적을 규명할 때가 아니라 칠갑으로 유구를 해석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April 2019, the Kongju National University Museum disclosed the result of its preservation treatment of the lacq uered leather armor unearthed from Gongsanseong Fortress. The additional verifica\-tion of the strokes in the Chinese characters and rearrangement of the fragments have enabled researchers to move one step closer to completing th 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 Lee Hyun-sook and Yang Jong-kook from the museum re-expressed their view that the armor was made in Baekje based on the newly added inscription. Their paper meant the release of new material, but the conclu\-sion was somewhat problematic.
    This paper suggests confronting their view, especially on the nationality of the armor and question the adequacy of their usage of historical data. The inscription on the lacquered leather armor was made according to Tang's regulations(唐令). It includes such information as the names of the place and workshop where it was made, the names of the producer and the supervisor, the armor's structure, and the date of production. The place of production was not “Gaizhou(蓋州)” but “Yizhou(益州)”. Gaizhou was not established by the date of the inscription(April 21, 645). The positions of the super\-visors were written down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on system of the office of governer(都督府) of Tang. Also, the regnal year put on the inscription was not adopted in Baekje. In addition, the armor is different from the Baekje armor on the historical record in terms of materials and paints.
    The inscription reveal that the lacquered leather armor was made in Tang. The value of the armor should be judged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for which an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inscription is the starting point. Any attempt to present a hypothesis simply by putting unmatched things together based on the presupposition that the armor was made in Baekje, leaving aside the need for an interpretive reading of the inscription, will impede efforts to discover the real value of the armor and hinder progress in the relevant research. Now that the entir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have been ascertained, it is only right to interpret the site based on what is known about the armor, rather than trying to define where it was mad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