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공 국민의 회고담과 민족주의적 주체 구성의 자기 서사 -모윤숙의 『회상의 창가에서』를 중심으로 (Reminiscences of National Anti-communist and Narratives for Consisting Nationalistic Self -Focusing on Mo Youn Sook’s Hoesangui Changgaeseo)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10
42P 미리보기
반공 국민의 회고담과 민족주의적 주체 구성의 자기 서사 -모윤숙의 『회상의 창가에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2권 / 2호 / 237 ~ 278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전후 한국 문단은 남한을 중심으로 민족 문학의 내포 개념을 구성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전개해 나간다. 문학사와 전집 발간 등은 이러한 민족 문학 건설의 실천적인 작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이후 활발하게 간행된 문인들의 자전적 회고담을 전제로 모윤숙의 『회상의 창가에서』에 나타난 반공주의적 민족 문학 건설의 담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식민지 시기의 대일협력의 혐의로 인해 모윤숙의 작품은 그 문학사적 의미가 충분히 연구되지 못했다. 하지만 모윤숙을 비롯해 최정희, 백철, 조연현, 서정주, 김기진 등 대일협력의 과거를 지닌 작가들이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에 집중적으로 회고담을 발행하고 있다는 점은 모윤숙의 회고담이 단순한 개인적인 고백이 아닌 다분히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자기 구성의 문단사적 활동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윤숙의 회고담을 하나의 대표적인 사례로 삼아, 당대의 전후 문단에서 식민지의 과거가 어떠한 방식으로 은폐 혹은 조정되고, 전쟁의 경험이 민족의 역사로 수렴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모윤숙의 회고담은 식민지 시기를 다루는 전반부와 해방 후를 다루는 후반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전반부에서 모윤숙은 여류 명사로서의 사회적 활동을 생략하면서 대일협력의 혐의를 지워나간다. 대신 회고담은 유년기와 학창 시절의 경험을 통해 독립운동을 하는 아버지의 핏줄을 강조하고 독립을 이끌어줄 어른을 기다리는 소녀의 정체성을 구성해나간다. 등단 후에는 이광수와의 인연이 강조되는데, 모윤숙은 이광수와의 개인적 관계를 통해 그의 내면의 민족정신을 강조하고 대일협력의 혐의를 받는 문인들을 대신해 변호함으로써 스스로의 대일협력을 지울 수 있었다. 과거를 잊고 하나의 동포가 되자는 망각의 청산론은 이광수를 비롯한 대일협력자들뿐만 아니라 모윤숙 자신의 과거를 정당화하는 주요한 방식이 된다.
    식민지 시기 제국과 하나가 되기를 기원했던 모윤숙의 주장은 해방기를 거치면서 반공 국민이라는 새로운 목표를 만들어낸다. 해방 후의 회고담은 낙랑클럽 활동을 삭제하고 민간외교관으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한다. 그리고 전후의 회고담은 모윤숙이 반공 국민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국제적 문학 단체인 펜클럽의 일원으로 비약하면서 민족시인의 기표를 획득하는 과정을 기록한다. 이 같은 회고담의 서사는 모윤숙이 지속해온 전쟁 동원의 논리를 목격하게 해준다. 모윤숙은 전쟁의 상황에 놓인 개인들에게 전체와 하나가 될 것을 요청한다. 이들의 희생을 합리화하면서 모윤숙은 전쟁의 논리를 내화한 민족 담론을 구성하는데 성공한다. 망각의 청산론을 내세우면서 식민사회와 독재 정치의 과거를 잊고 하나가 되기를 요구했던 모윤숙의 민족 담론은 전후 반공주의적 민족론이 반복해온 제국의 논리를 목격하게 해준다. 그리고 식민사회를 거쳐 민족 문학을 건설하는데 노력해온 전후 한국 문단에 내포된 모순의 지점들과 한계들을 발견할 수 있게 한다.

    영어초록

    The Literary circle after the Korean War endeavored to rebuild the concept of national literature exclusive to South Korea through publish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canonical works of literature. Based on the various autobiographical memoirs that have been actively published since the 1960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t national literature constructed in Mo Youn-sook's Hoesangui Changgaeseo (The Window of Reminiscence). Due to pro-Japan activ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Mo Youn-sook's works of literature have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Mo Youn-sook's recollection was not a simple personal confession but rather a literary narrative in which it formed a political and ideological self. It was a part of the publication of autobiographies of various writers who were related to colonial collaboration. As analyzing Mo Youn sook’s work,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colonial past was concealed or adjusted, and at the same, how the experiences of war constructed a national history.
    Hoesangui Changgaeseo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half dealing with the colonial period and the second half dealing with the post-liberation period. In the first half, Mo Youn-sook erases the charges of cooperation with Japan by omitting social activities as a female celebrity. Through the texts on her childhood and school experiences, she focuses on the influences of her father and emphasizes that h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it constructs the identity of a girl who waits for an adult who will lead national independence. After her debut, The memoir emphasizes the relationship with Yi Kwang-soo. By reading his inner national spirit, she was able to defend and omit her past. The liquidation of coloniality through oblivion becomes an effective way to justify the past of Mo Youn-sook, Yi Kwang-soo, and other collaborators with Japan.
    Mo Youn-sook's insistence that Koreans should become one with the empi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changed into the goal of building an anti-communist nati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The memoir after the liberation deleted the Nakrang Club activities and strengthened an identity as a civilian diplomat. The memoir records the process that Mo Youn-sook become a member of the Pen Club. And it reveals that she has succeeded in achieving the name of a national poet. Mo Youn-sook's national discourse demanded to become one instead of remembering the colonial past and dictatorship.
    Mo Youn-sook's national discourse, which demanded to become one instead of remembering the colonial past and dictatorship. It allows us to find the colonial discourse repeated by anti-communist nationalism after the Korean war. And it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the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ost-war Korean literature that has been trying to construct nationa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