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불교미술의 주제 《雙神變의 기적》에 대한 고찰 -‘쌍신변’에 대한 아비담마적 해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eme of early Buddhist art,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雙神變)》 : Focusing on the Abhidhamma interpretation of ‘Yamaka-pāṭihāriy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3
33P 미리보기
초기 불교미술의 주제 《雙神變의 기적》에 대한 고찰 -‘쌍신변’에 대한 아비담마적 해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9호 / 233 ~ 265페이지
    · 저자명 : 강소연

    초록

    본 논고는 초기 불교미술의 주요 주제 중에 하나인 《쌍신변의 기적》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고찰을 목표로 한다. 쌍신변의 기적 또는 쌍신변의 신통은한 찰나에 두 가지 모습(물과 불)으로 몸을 나투는 신변으로, 신통 자체에 있어해석의 난해함으로 인해 종교적 측면 또는 미술사학적 측면에서 거의 다루어진 바가 없었다. 더욱이 이러한 신통은 단순한 논리적 추론이나 문자적 해석을 넘어 어느 정도 수행적 측면의 종교적 체험이 바탕이 되어야 비로소 이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에 신통의 표면적인 역사적 차원의 언급과 해당 작품의 피상적인 형태적 거론을 넘어 본 논고에서는 쌍신변의 기적에 대한 도상해석학적 연구를 초기 불전인 니까야 경전의 전거를 통해 진행하였다. 먼저사위성에서 석가모니 붓다가 쌍신변의 기적을 행하게 된 연유와 배경을 소개하고, 그 모습이 집중적으로 조형화된 초기불교미술 시대의 대표적 작례를 통해 형식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사위성의 기적(신통 또는 신변)〉 또는 〈망고나무 아래의 기적〉 등으로 불리는 무불상 시대에서부터 간다라 양식 작품에 이르기까지의 수작을 선별하여 실제 붓다 재세 당시 일어난 기적이 어떻게 조형적으로 구현되었는지 상세히 분석하였다. 물과 불의 방사의 기적에서 다시 분신(分身)의 기적으로 이어지는 신통이, 이것이 추후 천불화현이라는 조형적 전통으로 계승되는 원류임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어째서 붓다의 쌍신변과 분신의 기적이 ‘능가할 수 없는 최고의 신통’으로 칭해지는지, 심(心) 찰나의 특성을 들어 아비담마적인 도상해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쌍신변의 기적이 불교 포교와 전법에 어떠한 정점을 찍었는지, 또 붓다의 교화에 있어 아비담마적 설법으로의 전환에 있어 어떠한 상징적 계기가 되었는지, 그리고 그것을 조형화한 미술 작품이 어떠한 도상학적 상징과 의미를 내포하는 지를 논하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background and content of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 and the meaning of the form and iconography embodied in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 in early Buddhist art. First, by examining the conflict with the six non-Buddhist teachers (cha-tīrthikaⓢ, cha-titthiyāⓟ) of Shavrasti and the background of the Buddha’s miracles, the Buddha’s miracles played a key role in making Shavrasti a part of Buddhist propagation. Next, works depicting miracles (〈Great Miracle at Shavrasti〉, 〈Miracle of the Mango Tre e , or Mango Tre e Miracle〉, 〈Miracle of Buddha〉, etc.) range from reliefs of the Sanchi Stupa of the non-Buddha era to Gandhara art,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the representative works of art were discussed. In the era of non-Buddha, only the mango tree (the place where miracles were performed) and the Diamond Pedestal symbolized the existence of Buddha and miracles. In Gandhara works, it was implemented in the miraculous elements of water and fire appearing together with the image of Buddha as a nirmanakaya. Next, it was studied that the ‘mystical power of self-replication’ performed following the miracle of Yamaka-pāṭihāriya led to the formative tradi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a thousand Buddhas(千佛化現)’, starting with the relief of the Ajanta caves. Lastly, the Iconographical Anaylsis of Yamaka-pāṭihāriya’s miracles was examined based on the sources such as 『Dhammapada』, 『Dhammapada Aṭṭhakathā』 『Buddhacharita』, 『Mahapadana sutta』, and 『Milinda-pangha』. Finally, as to why ‘Yamaka-pāṭihāriya’, which means ‘existed as two Kasiṇa, water and fire at one time’, is a ‘mysterious supernatural power’ or ‘the highest supernatural power that cannot be surpassed’, the momentary characteristics of the mind (心) as in abhidhamma aspect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