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적수담(積水潭) (십찰해(什刹海))의 위상변화와 수도 북경(北京)의 상징성 (The Role Change of Jishuitan/Shishahai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From Yuan Dadu to Ming Beiji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5.08
38P 미리보기
적수담(積水潭) (십찰해(什刹海))의 위상변화와 수도 북경(北京)의 상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학연구 / 60호 / 129 ~ 166페이지
    · 저자명 : 조영헌

    초록

    이 논문은 중국의 수도 북경의 역사적 의미를 검토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 가운데 하나로, 積水潭 호수라는 도시 공간에 주목했다. 특별히 북경의 서북쪽에 위치한 積水潭(혹은 什刹海)의 기능 및 위상이 원조와 명조 사이에 어떻게 변화하는지와, 이러한 변화가 수도의 상징성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를 함께 검토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적수담이라는 호수는 원 대도와 명 북경에 동일하게 존재했으나, 적수담의 중심적 表象(representation)은 왕조 교체와 함께 크게 변화되었음을 확인했다. 우선 왕조 교체와 함께 도성의 구조가 변화했다. 즉 북경 성곽이 남쪽으로 약간 이동했고, 都城 안으로 진입이 가능했던 通惠河가 성곽 재건으로 인해 막혔다. 그 결과 大都에서 중심부에 위치했던 積水潭은 명 북경에서 서북쪽으로 위치가 변경되었고, 通惠河와 단절되어 漕運船의 북경성 진입도 불가능해졌다. 대신 명 북경의 積水潭은 성곽의 서쪽에 위치한 西山을 觀賞하는 遊覽地로유명해졌다. 首都로 物資를 집중시키는 중심지로부터 觀賞의 명소이자 風流를즐기는 湖水로 積水潭(什刹海)의 中心 表象(representation)이 변화된 것이다.
    원 대도의 적수담은 수도의 중심으로, 水運을 통한 物流의 극대화 혹은 통일국가의 物流中心을 상징했다. 船舶이 湖水를 덮었다는 뜻의 “舳艫蔽水”는 이를 잘 표현하고 있다. 필자는 이것이, 수도의 安保(security)라는 이슈보다 利潤(profit)이라는 이슈가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상징한 것으로 해석한다. 반면 明 北京의 什 刹海는 멀리 山을 觀望하는 명소를 상징했다. 銀錠橋에서 西山을 바라본다는 “銀 錠觀山”은 이를 잘 표현한다. 필자는 이에 대해, 首都의 安保 이슈가 利潤 이슈를 압도해버린 결과로 해석한다.

    영어초록

    As a part of research series examining the historical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of Beijing, this paper focused on the changes in the main role and function of the Jishuitan(積 水潭) or Shishahai(什刹海), the lake currently located northwest of Beijing, from the Yuan to the Ming, and examined the resulting shift in its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Through this research, I was able to verify that, despite Jishuitan’s continuous existence and location in both the Yuan and Ming, its main representation changed as the dynasty shifted from Yuan to Ming. First, the layout of the city wall changed with the dynastic change; Beijing’s city wall moved slightly southward, especially as the Tonghuihe(通惠河) no longer flowed into the city due to reconstruction of the city wall since the Yongle reign.
    Consequently, Jishuitan, located at the center of Dadu in the Yuan, moved and was located northwest of Beijing since the Ming. It also let to the Jishuitan being disconnected from the Tonghuihe, with tributary ships from the Grand Canal no longer able to enter the city.
    However, during the Ming, Shishahai(its name having changed during the Ming) became a famous sightseeing place for Xishan(西山), which was located west of city wall of the Bejing. In sum, the Jishuitan’s main representation of the capital city changed from a center of national transportation for goods to a famous sightseeing place for leisure.
    During the Yuan, the Jishuitan was the center of the capital city Dadu and represented the zenith of national waterway transportation or the center of the distribution of goods for the unified kingdom. A four-character Chinese idiom, “zhulubishui (舳艫蔽水)”, appropriately describes the Jishuitan’s status in the Yuan, since it refers to several ships covering the lake, with the implication that profit mattered more than security in the Yuan Dadu.
    Thus, the Shishahai came to serve as a famous sightseeing place for the mountain during Ming Beijing. A Chinese idiom, “yindingguanshan(銀錠觀山)”, illustrates the Shishahai’s altered status, indication that Xishan sightseeing from the Yinding Bridge(銀錠橋) vantage point on the Shishahai was very famous. Ironically, the Shishahai’s main function was related to the mountain and disconnected from water. This role change implied that, in the same capital city, profit concerns had been superceded by security concerns, primarily as a result of the dynasty change from Yuan to Ming, and the concurrent change in the ruling ethnicity from Mongols to H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