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약자 성공담의 정서적·인지적 반응과 소셜미디어에서의 공감과 공유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to Underdog Success Stories and User Engagement on Social Medi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3.04
36P 미리보기
약자 성공담의 정서적·인지적 반응과 소셜미디어에서의 공감과 공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학보 / 67권 / 2호 / 117 ~ 152페이지
    · 저자명 : 강금량, 정성은

    초록

    어려운 조건에 처한 개인이 이를 극복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약자 성공담은 대중매체뿐 아니라 소셜미디어에도 자주 공유되는 대중 서사이다. 소셜미디어에서 이야기의 공유에 대한 연구가 많지만, 희망과 노력 등의 가치가 강조된 긍정 서사인 약자 성공담의 공감과 공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 본 연구는 긍정 미디어 심리 이론과 타인칭찬 정서연구를 바탕으로 기쁨, 감탄, 감동의 정서적 요인과 의외성, 깨달음의 인지적 요인이 약자 성공담의 공감표현과 공유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SNS에서 수집한 40개의 약자 성공담 동영상을 각 8명씩 무선할당된 참여자들(N = 320)에게 시청하게 하고, 시청으로 인한 정서와 인지적 반응을 설문을 통해 측정한 후, 메시지 단위의 분석과 개인 수준의 분석을 결합한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인공의 힘든 처지가 강조되었다고 지각된 약자 성공담은 그렇지 않은 성공담에 비해 공감표현을 더 많이 받았다. 그리고 약자 성공담은 그렇지 않은 성공담에 비해, 기쁨, 감탄, 감동 등 정서를 더 크게 유발하고 이러한 정서들은 공감표현을 더 크게 이끌어 내었다. 인지적 요인인 의외성과 깨달음 또한 일반 성공담보다 약자 성공담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그러한 인지적 요인들은 공감표현을 더 크게 이끌어 내었다. 약자 성공담에 대한 공유의향은 일반성공담에 비해 높지 않았지만 기쁨, 감탄, 감동, 그리고 의외성과 깨달음이 클수록 공유의향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긍정 서사 중 하나인 약자 성공담의 특성을 분석하고, 특성과 관련된 정서적 요인인 기쁨, 감탄, 감동, 그리고 인지적 요인인 의외성과 깨달음이 소셜미디어에서의 공감과 공유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밝혔다는 이론적 의의가 있다. 특히, 이전 연구는 타인 성공사례의 공유과정에 기쁨의 정서는 관여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으나, 본 연구는 줄거리가 포함된 이야기로 표현되었을 때, 타인 성공담 특히 약자 성공담은 수용자에게 기쁨을 불러일으키고, 공감과 공유를 유도함을 밝혔다. 약자 성공담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마케팅이나 홍보캠페인 기획 시, 감동 등의 정서적 요인을 주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영어초록

    We investigated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to underdog success stories and user engagement such as liking and sharing on social media. A common storyline in both mass media and social media is the "underdog story," in which a person faces adversities but overcomes them to triumph. Underdog stories differ from other content shared on social media in that they are upbeat storylines that place an emphasis on moral traits like hope and resilienc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liking and sharing underdog stories on social media. Based on positive media psychology and research on other-praising emotions, this study proposed hypotheses about the effect of emotional factors of joy, admiration, and elevation, and cognitive factors of unexpectedness and enlightenment on the expression of “like” and intention to share underdog success stories. To test these hypotheses, 320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watch one of 40 videos of underdog success stories and indicated their emotional and cognitive responses. We combined group-level and individual-level analyses and performed multilevel analysis.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underdog stories, or those that focused on the protagonist's challenging circumstances, attracted more positive reactions than those that did not. Additionally, the joy, admiration, and elevation that underdog stories elicited increased "like" responses. In contrast to other success stories, underdog stories also had more unexpectedness and enlightenment, which prompted more expression of lik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haring intention between underdog stories and other success stories. However, joy, admiration, elevation, unexpectedness, and enlightenment all were found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share.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underdog success stories and pertinent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as well as by testing the impact of those factors on the expression of liking and sharing on SNS,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field of media psychology. In particular, Algoe and Haidt’s (2007) study argued that the emotion of joy is not involved when encountering other people's success stories, but we found that when other people's success such as underdog stories were expressed as a narrative with a plot evokes joy, which induces expression of liking and intention to sh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public campaigns and online marketing where emotional variables like elev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s a vital fac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