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례에 싸인 이야기를 탐구하다, 담촌 서대석 선생의 서사무가 연구 (Exploring the story wrapped in rituals: a study of Damchon Seo, Dae-seok's Study on Shaman Epic.)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1.12
28P 미리보기
의례에 싸인 이야기를 탐구하다, 담촌 서대석 선생의 서사무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비문학연구 / 63호 / 69 ~ 96페이지
    · 저자명 : 윤준섭

    초록

    담촌 서대석 선생은 국문학 분야 중 구비문학을 학문적으로 정립한 1세대 대표 학자이다. 1960년대 당시 서사무가라는 용어보다는 신가, 무속신화, 본풀이 등의 용어가 익숙했다. 하지만 그는 서사문학의 출발점을 마련한 무속서사시의 전승이라는 점에서 서사무가 연구를 수행했다.
    초창기 서대석 선생은 서사무가를 ‘완전한 스토리’를 지닌 무가로 정의했다. 오직 문학적 입장에서, 특히 서사성을 중심에 두고 무가를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당시 채록된 90여 편의 서사무가를 ‘바리공주형(形)’, ‘제석본풀이형’, ‘강림도령형’, ‘할락궁형’, ‘백년해골형’, ‘궁산이형’, ‘천지창조형’, ‘에미레종유래형’으로 유형 분류를 시도했다. 동시에 그는 학문적 활동을 문학적 탐구에 그치지 않고 굿판에 가서 무의(巫儀)를 조사하여 『동해안무가』라는 연구 결과물을 제출하기도 했다.
    이후 서대석 선생은 현재 대표적인 서사무가 작품으로 알려진 <바리공주>, <제석본풀이>를 대상으로 그 문학성을 논의했다. <바리공주>와 <제석본풀이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두 작품이 전국적으로 전승되며 인간의 근본적 문제인 생사(生死)를 다루고 있기 때문이었다. 구체적으로 서대석 선생은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바리공주>, <제석본풀이> 이본군의 ‘서사’를 대비・검토하여 <바리공주>는 ‘서울지역’, ‘함남지역’, ‘경북(동해안)지역’, ‘전남지역’으로, <제석본풀이>는 ‘동북부지역’, ‘서남부지역’, ‘제주도지역’으로 무가권을 구획하고 전승과 변이의 양상을 고찰했다. 동시에 그는 <바리공주>, <제석본풀이> 서사에 담겨진 ‘영웅의 일생’과 ‘여성의 수난’의 서사 모형을 찾아내 서사무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밝혔다. 그 결과 서사무가는 구비문학, 더 나아가 한국문학의 한 영역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영어초록

    Damchon Seo Dae-seok is a representative scholar of the first generation who academically established oral literature among the fields of Korean literature. At the time of the 1960s, terms such as Shin-ga, a Shaman Myth, and Bonpuri were more familiar than the terms Shaman Epic. However, he conducted the studying that Shaman Epic was a transmission of shamanistic epics that set the starting point for narrative literature.
    In the early part of the study, Seo Dae-seok defined Shaman Epic as a Muga[shaman song] with a 'complete story'. From a literary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e Muga[shaman song] was examined with narrative at the center. Based on this, more than 90 Shaman Epics recorded at the time were classified into <Barigongju> type, <Jeseokbonpuri> type, <Ganglim-Doryeong> type, <Hallakgung> type, <A hundred years old skull> type, <Gungsani> typ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type, and <The origin of the Emirejong> type. At the same time, he did not stop his academic activities for literary exploration, but also went to gutpan to investigate Shamanism ritual[巫儀] and submitted the results of a study called <East coast Shaman Epic>.
    Afterward, Seo Dae-seok discussed the literature of <Barigongju> and <Jeseokbonpuri>, which are currently known as representative Shaman Epic. The reason he chose the <Barigongju> and <Jeseokbonpuri> is that these two works were handed down nationwide and dealt with life and death, a fundamentally human problem. Specifically, Seo Dae-seok compared and reviewed the ‘narrative’ of <Barigongju> and <Jeseokbonpuri>’s different versions, which are handed down nationwide. As a result, <Barigongju> divided into "Seoul," "Hamnam," "Gyeongbuk(East Coast)," and "Jeonnam." On the other hand <Jeseokbonpuri> divided into "Northeast," "Southeast," and "Jeju Island." Based on these findings, He divided the Shaman Epic Area to examine aspects of transmission and variation. At the same time, he found narrative models of "The Life of a Hero" and "Women's Suffering" contained in the narratives of <Barigongju> and <Jeseokbonpuri>, with this reveale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Shaman Epic. As a result, Shaman Epic has been established as an area of oral literature, and Korean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