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심층 — 신부 살해와 엿보기의 혼인담 — (The Depths of 'Peeping into the Bridal Room' Type Folk Tale - Marriage Folk Tales of Bride Murder and ‘Peeping’-)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4.02
24P 미리보기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심층 — 신부 살해와 엿보기의 혼인담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50호 / 119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난주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심층을 분석하고 거기에 내재되어 있는 성(性)과 결혼에 대한 기층민중의 인식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민담의 핵심 모티프인 ‘신부 살해’ 서사와 ‘엿보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국내외 민담과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는데, 이를 통해 이 민담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론 첫 장에서는 ‘신방 엿보기’형 민담의 전승 상황과 서사구조, 변이양상을 개관하여 민담의 전체상을 파악하였다.
    성적 결합과 관련한 배우자 살해 모티프는 전 세계 민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데, 여기에는 성의 폭력성, 그리고 성과 혼인을 둘러싼 불안과 공포의 심리가 내재되어 있다. 하지만 한국 민담의 경우, 성에 대한 원초적인 공포가 발현하는 때를 주로 첫날밤의 신방(新房)이라는 시공간으로 특정하며, 특히 ‘신방 엿보기’형 민담은 그 희생자를 여성으로 설정한다는 데 특수성이 인정된다. 여기에는 첫날밤의 성에 대한 공동체의 각별한 관심과 함께 폐쇄적인 성문화와 조혼 관습, 그리고 여성의 성을 피동적인 것으로 인식하는 전통적인 성 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한편, 대부분의 혼인담에서 ‘엿보기’는 금기로 설정되고, 이 금기가 깨질 때 혼인은 일시적이거나 영구적인 파국을 맞는다. 이에 비해 ‘신방 엿보기’형 민담은 엿보기가 위험한 혼인으로부터 신랑 신부를 보호하기 위한 방편이라고 설명한다. 이때 엿보기는 상대의 정체를 은밀하게 탐색하는 수단이 아니라, 혼례라는 의례의 장에서 집단적이고 공공연하게 일어난다. 이 민담은 신부 살해 서사를 통해 혼인의 위험성을 경고하면서도, 공동체의 힘으로 그 위험을 막아낼 수 있다는 낙관적 메시지도 함께 전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pths of 'Peeping into the Bridal Room' type folk tale and explore the perceptions of sexuality and marriage inherent in the consciousness of the lower classes. In this paper, a comparativ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olk tale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ore motifs of 'bride murder' narrative and 'peeping’. Through this. this paper aimed to derive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these folk tale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main body, an overview of the transmission status, narrative structure, and variations of the folk tale was provided to grasp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se folk tales.
    The motif of spousal homicide related to sexual coupling is commonly found across folk tales worldwide. This reveals the violence of sex, and anxiety and fear of sexuality and marriage. However, in Korean folk tales, the primal fear regarding sexuality is manifested within the bridal room on the wedding night. And the 'Peeping into the Bridal Room' type folk tale sets the victim as a female. This Korean folk tale reflects a closed sexual culture and early marriage customs along with the community's particular interest in the sexuality of the wedding night. In addition, this reflects gender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at view women's sexuality as passive.
    In most marrige folk tales, ‘peeping’ is typically designated as taboo, and when this taboo is broken, marriage often faces temporary or permanent ruin. In contrast, the 'Peeping into the Bridal Room' type folk tale describes ‘peeping’ as a means to protect the groom and bride from a marriage fraught with danger. At this point, 'peeping' is not a secret means of exploring the identity of the other person, but is performed collectively and openly within the conscious space of marriage. This folk tale warns of the dangers of marriage through the narrative of a bride murder, but it also conveys an optimistic message that with the strength of the community, marriage can be protected from such ris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