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인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호랑이 소재담을 중심으로­- (Rewriting of Korean Folktales by Foreigners -Focusing on the Subject of Tiger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14.07
38P 미리보기
외국인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 ­-호랑이 소재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43호 / 191 ~ 228페이지
    · 저자명 : 오윤선

    초록

    본 논문에서는 영어로 번역한 한국설화들에 나타난 호랑이의 유형을 통해 외국인의 한국설화 다시쓰기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1950년 이전에 채록된 한국설화를 대상으로 호랑이상의 유형을 분류한 결과, 무서운 호랑이(40편), 어리석은 호랑이(32편), 착한 호랑이(22편), 나쁜 호랑이(2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문 한국설화에 나타난 호랑이의 양상은 어리석은 호랑이(10편), 무서운 호랑이(4편), 나쁜 호랑이(4편), 착한 호랑이(3편) 순으로 어리석은 호랑이가 압도적이었으며, 착한 호랑이가 아주 적었다. 이는 일본인이 편찬한 일문 한국설화집에서와 마찬가지 양상이었다.
    부정적인 호랑이상에는 일제가 한국의 호랑이를 폄하하려는 의도가 반영되었음을 볼 수 있었으며, 이는 국문, 영문, 일문 설화집에도 일정정도 영향을 끼쳤다. 물론 한국설화에 나타난 호랑이는 긍정적인 모습과 부정적인 모습을 모두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야기의 주제를 왜곡하면서까지 한국 호랑이를 폄하하는 제목을 붙이는 사례들에서 한국 호랑이에 대한 편견을 볼 수 있었다.
    영문 한국설화집에서 강조된 부정적인 호랑이상은 일본의 영향을 받은 역자의 편견과 서구인이 호랑이에 대해 가지고 있는 선입견이 반영된 것이다. 이러한 당대 서구인들의 선입견은 한국인들 사이에 퍼진 호랑이에 대한 소문과 두려움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사실 호랑이는 한국인에게 숭배의 대상이자 두려움의 대상이었는데 이것이 편향되게 비춰진 것이었다.
    또한 설화가 동화로 개작되는 과정에서 서구인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이 확대 서술된 것도 호랑이의 부정적인 면이 강조된 한 원인이었다. 동화로의 개작과정은 개작자의 의도가 개입될 여지를 만드는데, 이는 물론 일본인이 한국설화를 번역할 때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번역된 설화들에는 부정적인 한국 호랑이상이 과도하게 반영되었고, 여타 자애롭거나 의리 있는 호랑이상은 배제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spects of the rewriting of Korean folktales by foreigners, analyzing the representations of tigers in the original tales and in their English translations. Tiger images in the original tales are categorized as scary (40 tales), stupid(32tales), good(22tales), or bad(2tales). In comparison, tigers in the English translations are stupid(10tales), scary(4tales), bad(4tales), or good(3tales). Thus, stupid tigers greatly outnumber the others, and good tigers are fewest. Japanese translations of Korean tales show the same result as the English translations.
    As one would expect, the Korean tales conta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representations of tigers. However, the translated titles distort the original stories to belittle the Korean tigers, indicating anti-Korean bias. The negative image of tigers in the Japanese translations reflects a Japanese tendency to disparage the image of Korean tigers.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image of tigers in the English translations shows that the translators have biases influenced by the Japanese biases, as well as the Western prejudice of the time against tigers, since, in fact, the tiger was an object of worship and fear for Koreans.In addition, that the Western prejudice was exaggerated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 tales into children’s stories was one reason the negative side of tigers was stressed. The adaptation involved filling gaps in the simple narration of the original tales, giving the translators’ opportunities to insert their opinions. The same occurred in the Japanese translations. In short, the translations produced excessively negative images of Korean tigers, eliminating the caring and loyal aspect of their image in the Korean t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