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혈서사송담(血書寫頌譚)과 보살의 보시 - 낙법보살담을 중심으로 - (Hyoulser-sasongdam (血書寫頌譚) and Bodhisattva’s Dāna (布施) - Focusing on Nakbeopbosaldam (樂法菩薩譚)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0 최종저작일 2022.11
31P 미리보기
혈서사송담(血書寫頌譚)과 보살의 보시 - 낙법보살담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4호 / 269 ~ 299페이지
    · 저자명 : 최복희

    초록

    붓다의 전생 구법담(求法譚)에는 자신의 육체 등을 희생(공양)하는 사신(捨身)구법담이 있는데, 본고는 그 가운데 혈서구법담(血書求法譚)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혈서구법담은 다시 혈서사경(血書寫經)과 혈서사송담(血書寫頌譚)으로 구분하였다. 피부, 뼈, 피를 지필묵(紙筆墨)으로 삼아서 구법을 하는 것은 공통하지만, 혈서사송담은 대승보살과 대승경전을 대상으로 하는 혈서사경과는 달리, 게송(사구게)과 붓다의 전생과 밀접하다.
    혈서사송담의 대표적인 『대지도론』의 낙법보살담은 후대에 구법자의 이름 등이 바뀌면서 여러 경전에 인용되었지만, 특히 『불설화수경』에는 배고픈 나찰에게 몸을 공양하기로 하고 게송을 들은 설산동자담과 내용이 혼재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한편, 사신구법과 혈서사송담 등은 보시(布施)와도 매우 밀접하다. 하지만 일반적 보시의 구분인 재시(財施), 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에는 속하지 않으므로, 보살의 보시와 관련하여 살펴보았다. 경전에 나타난 보살의 보시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보시의 명칭에 따른 구분과 보살의 구분에 따른 것이다.
    보시의 명칭에 따른 구분은 『생경』 등에서는 내시(內施), 외시(外施), 대시(大施)의 3종이지만, 『화엄경』에서는 10종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런데, 명칭에 따른 보시의 내용이 일정하지 않아서 낙법보살담의 혈서담이 경전에 따라 내시, 또는 외시로 구분되기도 한다. 보살의 구분을 따르면, 낙법보살담은 무생법인보살의 보시행인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Buddha’s past life Story of seeking for Dharma (求法譚), there is a Self-Sacrifice Story of seeking for Dharma(捨身求法譚) in which his body, etc. are sacrificed, and this paper explored it focusing on Hyoulser-gubeopdam (血書求法譚).
    Hyoulser-gubeopdam was further divided into Blood-writting-Copying Sutras (血書寫經) and Hyoulser-sasongdam (血書寫頌譚). Dharma-seeking using skin, bone, and blood as paper-pen-ink(紙筆墨) is something in common here, but Hyoulser-sasongdam is closely related to Gatha_poems (四句偈) and Buddha’s past life, unlike Blood-writting-Manuscripts which targets MahayanaBodhisattva and Mahayanasutras.
    A representative Hyoulser-sasongdam, Nakbeopbosaldam of “Mahāprajñāpāramitaśāstra”(『大智度論』) was cited in several sutras as the name of the dharma-seeker was changed later on, but especially in “Bulseolhwasugyeong”(『佛說華手經』) the body was decided to be consecrated to the hungry Raksasa, and Seolsandongjadam(雪山童子譚) that heard Gatha_poems and the contents would appear mixed.
    In the meanwhile, Self-Sacrifice-seeking for Dharma(捨身求法) and Hyoulser-sasongdam, etc. are also very close to Dāna (布施). However, since they do not belong to the general classification of Dāna such as Jaeshi (財施), Beopshi (法施), and Mu Weishi (無畏施), we examined the Dāna of Bodhisatva. Dāna of Bodhisattva appearing in sutras are divided into two types, which i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Dāna and the classification of Bodhisatva.
    As for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alled names of Dāna, there are three types of Dāna such as Naeshi (內施), Weishi (外施), and Daeshi (大施) as in the “Jātaka Sutra”(『生經』), etc., but it is classified into 10 kinds in the “Avataṃsaka Sūtra”(『華嚴經』). However, because the contents of Dāna according to the called names are not constant, the Hyoulserdam(血書譚) in the Nakbeopbosaldam would be also classified as Naeshi or Weishi depending on the sutra. According to Bodhisattva's classification, Nakbeopbosaldam is the Dāna-pati(布施行) of Autpattika-dharma-ksānti Bodhisattva.(無生法忍菩薩)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