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 (Context of lines and verses and time consciousness in folksongs about twelve month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30권 / 295 ~ 322페이지
    · 저자명 : 이옥희

    초록

    이 글에서는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를 주요한 연구대상으로 하여 연행 맥락과 시간 의식을 살핌으로써 열두달 노래 양식이 빚어내는 의미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열두달을 노래한 민요의 연행 맥락은 의례적 맥락, 정서적 맥락, 유희적 맥락의 차원으로 정리된다. 의례적 맥락의 민요는 지신밟기의 현장에서 연행되는 고사 축원소리가 이에 해당된다. 고사 축원의 현장에서 열두달 노래가 선택되는 이유는 다가올 1년이라는 불확실한 시간을 정월보름의 지신밟기 현장이라는 한정적인 시간과 공간에 펼쳐놓음으로써 새로 시작하는 일년이라는 시간을 정화하고자 하는 연행주체들의 순환론적 시간관념이 반영된 것이라고 보았다.
    정서적 맥락의 민요는 삼삼기, 물레질 등 여성들이 모인 공간에서 불리워진다. 민요의 내용은 떠나간 님과 떠나간 부모님을 그리워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행주체들이 열두달이라는 시적 형식을 채택한 이유는 인생에서 好時節인 세시절일을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할 수 없음을 통해 이별의 슬픔을 극대화하며 또한 순환하는 시간 속에서 이별 또한 하나의 과정임을 인정하기 위함이었다고 보았다.
    유희적 맥락의 민요는 놀이의 현장에서 주로 불리워지며, 장타령, 화투타령, 범벅타령 등이 이에 해당된다. 정월부터 12월까지의 시적 구성은 언어유희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유희적 맥락에서 연행되는 열두달 노래에서는 가장 좋은 시절이라는 의미로 세시절이 언급되었으며 이들 작품에서 시간 의식은 현전화의 지향성을 갖는다고 보았다.
    사대부작 월령체가에서 태양력을 중심으로 질서화된 시간역법인 24절기를 월령에 포함시켜 24절기에 따른 농사력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점은 태음력을 주종으로 하여 질서화된 열두달 민요의 세시풍속과는 차이를 보인다. 사대부작 월령체가에서는 민요에서 보여지는 재현된 시간으로서의 주관적 시간인식이라기보다는 실제적 현실이 강조되는 객관적 시간의 양상을 띤다고 보았다. 즉 사시가류, 열두달 시가류는 순환론적 시간 의식에 기초하여 세계를 질서화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향유계층에 따라서 시간 의식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Among ancient Korea poetry and folksongs, those that dealt with temporality were folksongs about four seasons and 12 months. In this paper, meaning of the folksongs is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context of lines and verses and perception of time in the folksongs about 12 months.
    Context of lines and verses of the folksongs about 12 months can be divided into ritual context, expressive context and playful context. Prayers and admonitory speech in the play of ‘Treading the god of the earth’ belong to the ritual aspect of the folksong. The songs about 12 months used in prayers and admonitory speech reflected people’s desire to purify the uncertainty of next year by representing it in the defined space and time of the play of ‘Treading the god of the earth.’ Twelve months described in terms of seasons in prayers and admonitory speech are more a reproduced and mythical time than an objective time. Expressive aspect of the folksong includes verses and lines of longing for a mother and a lover who were gone. The reason why the writers of the folksongs adapted the form of 12 months was that they tried to emphasize their sorrow for not being with loved ones on festive days of each season while acknowledging parting from loved ones was a part of life in the cycle of time. In the expressive folksongs, it was understood that object time and experiential time were divided but oriented for an ultimate accord.
    Playful folksongs show some variation that the period from January to October is included in the songs but November and December are excluded. It is understood that the primal purpose of folksongs about 12 months is ritual but playful folksongs deviated from the primal purpose and adapted a freer form to pursue completion of their own new purpose. Poetic structure of 12 months can be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linguistic merrymaking. In the playful folksongs, seasonal festive days were referred to as the best time of year for normal people and time consciousness in the songs oriented to the present.
    Poetry about 12 months of the ruling class were somewhat different from folksongs about 12 months of common people in that the former were based on the 24 solar period according to the solar calendar while the latter were based on seasonal period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n poetry about 12 months of the ruling class, objective present time was emphasized whereas subjective and reproduced time was represented in folksongs of common people. Therefore, it is understood that the common purpose of poetry and folksongs about 4 seasons and 12 months was to put the world into a certain order but there was some difference between social classes in terms of perception of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