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시조에 수용된 ‘달’의 유형과 역할 (Types and Roles of 'Moon' Accepted in Si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4.01
30P 미리보기
고시조에 수용된 ‘달’의 유형과 역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36호 / 183 ~ 212페이지
    · 저자명 : 변승구

    초록

    본고는 시조에 수용된 ‘달’를 작품과 작자를 비롯하여 유형과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보 았다. 이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조에 수용된 ‘달’의 작품을 살펴보았는데 작품 총수는 699수이며 단시조가 605 수이고 장시조가 94수이다. 한편 ‘달’을 소재로 한 작가는 158명이며 작품 수는 436수이 고 가장 많은 작품을 쓴 작가는 安玟英으로 36수이며 다음은 李世輔로 30수이다. 시기로 는 조선 후기 42명에 232수가 확인되며 조선 전기는 23명에 112수가 확인된다. 신분으로 는 대부분 문신으로 28명에 136수가 있다. 다음으로 장의 양상은 총 933회가 확인되며 단독이 794회, 중복이 139회이다. 가장 많은 장은 초장으로 311수이고 다음은 중장으로 302회가 확인된다. 그리고 시조의 핵심 처라 할 수 있는 종장 초구에 ‘달’이 수용된 것은 총 43회이고 가장 많은 것은 ‘저 달아’로 지시어와 호격조사가 결합한 형태였다. 다음은 ‘달 밝고’로 6회이며 그 외는 소량 확인된 다. 그리고 시조에 수용된 ‘달’의 유형을 살펴보았는데 대분류는 6개이며 중분류는 13개이 며 소분류는 어휘로 85개의 유형이며 총빈도수는 1,014회이다. 가장 많은 유형은 단독으 로 ‘달’ 또는 ‘月’로 236수가 있다. 다음은 ‘상태’로 395회이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明月’이다. ‘시간’은 총 236회이며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三月’로 28회이다. 그리고 ‘공간’은 33회이며 ‘月下’가 22회로 가장 많다. ‘조합’은 천상과 조합한 ‘日月’이 53회로 가장 많다. ‘성어’는 23회로 소량 확인된다. 시조에 수용된 ‘달’은 다양한 유형으로 상당수의 작품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는 시조에 수용된 ‘달’의 유형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먼저 ‘상태’는 달빛을 통해 시적 분위기를 고조시키거나 시적 화자를 위로하기도 한다. 달의 출몰은 시상 전개와 주제 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시적 화자의 심정을 고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달의 모양은 달의 모양이 변하는 것을 통해 자연의 이치를 말하고 이를 작품 속에 수용하고 있다. 다음 은 ‘시간’으로 하루의 의미로 수용된 경우는 깊은 밤의 설정으로 주제를 고조시키는 역할 을 하며 시적 시간의 설정을 통해 시상이 전개되는 역할을 하고 있다. ‘한 달’은 작자가 표출하고자 하는 주제를 구체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설정하거나 효과적으로 표출하기 위하여 수용하였다. ‘계절’의 의미로 수용한 경우는 시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함이다. 시 조에 수용된 달은 ‘공간’의 의미로도 나타나고 있는데 달의 표면을 은둔의 삶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또는 그리운 임의 얼굴의 그려지는 표면의 공간으로 달이 수용되었다. 달의 주위는 시적 화자가 자유롭게 날고 싶은 공간이거나 시적 화자가 탄식하는 시적 공간으로 수용되었다. ‘조합’은 천상의 자연물과 조합한 경우는 시간의 의미로 수용되거나 자연·친 화적인 주제를 표출하기 위한 경우였다. 그리고 지상의 자연물과 조합한 경우는 속세와 다른 공간을 표현하기 위한 비유적으로 수용되기도 하였다. 끝으로 고시조에 수용된 ‘달’의 역할과 의미를 재조명해 보면, 먼저 고대문학에 수용된 ‘달’의 이미지가 변모되었다는 점과 시조에 수용된 ‘달’이 작품의 내적 구조를 이루는 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문학적 상상력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점 등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시조에 수용된 ‘달’은 상당수의 작품과 작가, 그리고 다양한 장의 형태와 유형까 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시조에 수용된 ‘달’의 유형들은 시적 공간이나 시적 시간 또는 시적 분위기를 고조시키기 위하여 활용되었으며 나아가 작가의 시상 전개나 주제 의식을 효과적으로 표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앞으로 시조에 수용된 다양한 소재를 추출하여 그 양상과 역할을 밝혀낸다면 미의식은 물론 미적 특질은 더욱 선명하게 드러날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ir structure and expressive features as well as works analysis in relation to dreams reflected in sijo(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First of all, we looked at the works of "Moon" accepted in the sijo, with a total of 699 works, 605 in minor and 94 in major paintings. Meanwhile, 158 artists are based on "Moon," with 436 works, 36 in 玟英, followed by 30 in 李世 輔. As for the period, 232 works are confirmed for 42 peo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112 works are confirmed for 23 peo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Next, a total of 933 times of intestines are confirmed, with 794 times alone and 139 times of overlapping. The largest number of intestines is the red pepper paste, with 311 times, followed by the middle length, with 302 times. In addition, a total of 43 times the 'moon' was accommodated in the first phrase of Jongjang, which is the core wife of the sijo, and the most was 'low sweet', which was a combination of indicators and hit surveys. The next is 'moon bright', which is 6 times, and a small amount is confirmed. And when looking at the types of 'moon' accepted in the sijo, there are 6 major categories, 13 middle categories, 85 types in vocabulary, and the total frequency is 1,014 times. The most common type is 'moon' or 'month', which can be 236 times alone. Next is 'state', which is 395 times, and the most common is '''. The total number of 'hours' is 236 times, and the most common is '三', with 28. And 'space' is 33 times, and 'month 下' is the most common with 22 times. As for 'combination', the most common with 'moon' combined with heaven at 53 times. 'Sacred words' are confirmed in small amounts with 23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moon' accepted in the sijo is various types and appears in a large number of works. As such, it can be seen that the 'moon' accepted in the sijo appears widely in a significant number of works, writers, and various forms and types of chapters. In particular, the types of 'moon' accepted in the sijo were used to enhance the poetic space, poetic time, or poetic atmosphere, and it can be said that it plays a role in effectively expressing the artist's development of the award or the theme consciousness. Therefore, if the various materials accepted in the sijo are extracted and their aspects and roles are reveal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esthetic qualities as well as aesthetic consciousness will be revealed more clea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