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 密陽 항일폭탄의거의 배경과 전말 - 崔壽鳳의 생애 행로와 義烈團의 초기 동향을 중심으로 - (Background and Circumstances of the Bombing Attack on the Milyang Police Station in 1920 ­-With Special Reference to Choi Subong's Life Courseand to Euiyeoldan's Early Movement­-)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12
42P 미리보기
1920년 密陽 항일폭탄의거의 배경과 전말 - 崔壽鳳의 생애 행로와 義烈團의 초기 동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85호 / 165 ~ 206페이지
    · 저자명 : 김영범

    초록

    1920년 12월 27일의 경남 밀양경찰서 투탄사건, 달리 말하면 항일사건의 하나인 최수봉 의거의 실행 배경과 전말을 규명하여 사건 전모를 재구성해내고 그 역사적 의미를 고구해보려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수사보고서와 판결문, 신문기사 등의 1차 자료와 최수봉의 생애 행로에 관한 여타 자료들을 재독해하여 꼼꼼히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종합함과 아울러 복원적 추리로써 자료상의 빈틈을 메워보는 미시적 접근을 주로 취하였고, 역사적 의미와 의의 추출에는 거시적 시각을 배합시켜보았다.
    1894년생인 최수봉은 1910년부터 1916년 사이에 밀양ㆍ부산ㆍ평양 세 곳의 4개 학교를 연달아 다니면서 동향 선배 고인덕의 영향으로 기독교에 입문하는 한편 항일의 뜻을 다지며 조국독립의 방도를 부단히 모색하였다. 1918년경에 독립운동 행로로 들어서서 만주로 갔던 그는 1919년~1920년 사이에 귀향해 있다가 의열단원 김상윤과 이종암의 제의를 받아들여 입단하고, 고인덕의 협력으로 제조된 폭탄 2개를 받아서 거사를 감행한 것이었다. 법정에서도 시종 의연한 태도를 견지하며 의열적 기개를 유감없이 내보여주던 최수봉은 선고된 사형 집행으로 순국했는데, 내면에서 끓어오르던 의기와 분노를 투탄행동으로 일거에 폭발시킨 그는 진정 의사이자 열사였다. 밀양 청년들이 경의와 예우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려하자 일제 당국이 탄압하여 저지시켰다.
    최수봉 의거는 영남 일대의 항일 민심을 격동시키고 전투적 독립운동 진영을 고무해주었을 뿐 아니라, 석 달 전의 박재혁 의거와 더불어 의열단과 김원봉이 제1차 국내 대의거계획의 실패를 딛고 일어서게끔 하는 디딤돌이 되어주었다. 그러한 역사적 의의와 관련하여 세 가지 점에 특히 유의할 필요가 있다. 첫째, 그의 의거는 돌발적인 것이 아니라 밀양지역사 속의 1910년대 항일운동의 기맥 및 1920년 9월의 밀양읍민 경찰서습격사건과 연접되는 것이었다. 또한 실행은 혼자 했지만 기획과 준비는 의열단 차원의 것이어서, 개인단독 거사로보다는 의열단의 초기 투쟁사와 직결되는 집단적 거사로 보아야 한다. 둘째, 밀양경찰서가 최수봉 의거의 타격대상이 된 데는 당지 출신자로서 성공 확률을 최대로 높이려는 전술적 고려도 작용했을 것으로 보아야 한다. 셋째, 최수봉의 거듭된 허위진술은 동지들을 끝까지 지켜내기 위해서였는데, 그것을 일제 관헌이 순순히 받아들인 것은 총독부 당국의 심히 난처한 입장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e author of this article is purposed firstly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and all the circumstances in detail of the anti-Japanese bombing undertaking by Choi Subong(최수봉) at the Milyang Police Station at December 27, 1920, and to futhermore reconstruct a full picture of the accident, lastly to inquire into its historical meanings and significances. The author takes mainly a kind of microhistorilcal approach composed of carefully re-read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primary documents such as investigation reports by police and prosecutory authorities, judgement decisions, newspaper articles, and other materials concerning Choi Subong's life course, followed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ose works and by operating a somewhat restoring reasoning.
    Choi, born in 1894, went successively to four schools in Milyang, Busan and Pyeong-yang, became a Christian and incessantly groped for ways of the fatherland's independence, cultivating the anti-Japanese mind and thought. About the year of 1918, he went forward to the road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by going to Manchuria. After having come back to Milyang around 1919~1920, he became a member of Euiyeoldan along with accepting the proposal from Kim Sang-yun and Yi Jong-am, both the founding members of the association, and received two bombs made by Goh Indeock's cooperation, and finally launched the undertaking. Showing a righteous and ardent mettle with a dauntless attitude in court and dying by sentence execution, he really deserved to be called as a heroic martyr.
    His undertaking encouraged in consequence the militant camp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served as a stepping-stone by which Euiyeoldan would rise up by being recovered from the former failure of the first Great Domestic Undertaking plan. In relation to that significance, the following point must be kept in mind. That is, although his deed was taken solely, its planning and preparation had been set on the dimension of Euiyeoldan's project. Therefore, it must be seen as a collective undertaking connected directly to Euiyeoldan's early struggle, rather than as a purely individual and lonely 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