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順菴 安鼎福의 斷代史 編年體, 『列朝通紀』 (A brilliant Mistery of Annals, the Yeoljo-Tongk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3.06
39P 미리보기
順菴 安鼎福의 斷代史 編年體, 『列朝通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5호 / 171 ~ 209페이지
    · 저자명 : 오항녕

    초록

    본고에서는 안정복의 『열조통기』에 대해, 편년체 역사서의 전통, 특히 실록과의 연관 속에서 사학사적 의미를 살펴보았고, 『열조통기』의 광해군대, 현종대 기사의 특징을 사례연구로 검토했으며, 다시 『열조통기』를 편년체 저장기억의 특징 속에서 반추해보았다.
    먼저 『열조통기』를 편년체라는 사학사의 전통 속에서 살펴보았다. 『열조통기』는 조선초기 강목체 논의를 거쳐 정착된 실록의 「시정기찬수범례」와 매우 유사한 패턴으로 편찬되었다. 『국조보감』이 주요 참고 문헌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열조통기』가 간접적으로 실록의 영향을 받았으리라는 것은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실록과 같은 편년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사찬 역사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기사(記事)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예컨대 졸기(卒記)나 제배의 형식은 실록과 거의 똑같고, 외교, 등과(登科) 현황, 상소 등도 내용만 줄였을 뿐 실록과 대동소이하다.
    또한 『열조통기』 기사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광해군대, 현종대를 사례로 검토하였다. 광해군 초기 임해군 옥사, 대명 관계의 왜곡, 대동법 시행의 좌절 등, 광해군대에 대한 안정복의 찬집은 중초본(中草本), 정초본(正草本)으로 남아 있는 『광해군일기』의 기록과 일치하거나 유사하였다. 광해군 3년 이후의 정세에 대해서 안정복은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상황을 전달해주었다. 대북(大北) 중심의 전횡을 비판하면서, 이이첨과 정인홍의 독단, 궁궐공사에 따른 민생파탄, 무원칙한 후금정책을 주요 의제도 다루었음도 살펴보았다.
    현종대의 기사 역시 실록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현종대의 현안이었던 기해예송과 관련, 안정복은 남인 허목의 효종의 차장자설에 입각한 삼년복을 지지하였고, 윤선도의 종통-적통론에 대해서 논평은 없었지만 윤선도의 처신에 우호적인 입장을 보임으로써 남인 당론을 따르고 있었다. 그러나 국정 운영 및 대동법 같은 민생과 관련된 정책은 당색에 상관없이 수록함으로써, 내용은 비록 소략하더라도 기사의 질은 같은 남인 중심으로 편찬했던 『현종실록』보다 나은 측면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록-일기라는 원시적, 초보적 기록 방식이 갖는 무정형성을 특정한 기억방식, 즉 문화적 집단적 기억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당시 역사서로서의 수준이 높은 당론서가 출현하기도 했지만, 그러한 집단 기억은 강제적이고 폐쇄적이 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저장기억은 그런 집단적 기능기억을 비판할 수 있는 역사서술의 가능성을 열어 놓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미 『동사강목』으로 역사가의 재능을 보여준 안정복이, 편년체 『열조통기』를 통해 후대에 남기려고 했던 메시지, 그것은 당론(黨論)이 아니라 당론을 지양(止揚)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으로서의 저장기억이 아니었을까, 그래서 관찬 실록이 아닌 사찬 실록을 편찬하려고 했던 것은 아닐지, 과제로 제시해보았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plai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Yeoljo-Tongki, the history of Joseon Dynasty being compiled by Ahn Jung-Bok(Soonam). Soonam imitated the Veritable Records in compiling articles of the Tongki. The categories of the Tongki is similar to those of the Veritable Records. Between the Veritable Records and the Tongki, there was another history called the Kukjo-Pokam, the Great Mirror of Our Dynasty, which was compiled to refer to kingship in the government. So the categories and forms of the articles such as comment, diplomat, literati exam., opinions of subjects, etc., of the Tongki look like the Kukjo-Pokam.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ngki, I chose two sample period of King Kwang-Hea and King Hyeon-Jong. First, the criminal case of the prince Imhea, the distortion of Joseon-China relationship and the failure of Tax reform of the Early Kwang-Hea reign in the Tongki were coincided with the records of the Diary of King Kwang-Hea. After the third year of Kwang-Hea, the Tongki dealed with arbitrariness of Yi I-Chum and Jung In-Hing, the excessive waste of finance in the palace constructions, the opportunism in foreign policies criticizing the Dae-Buk regime.
    The articles of the King Hyeon-Jong of the Tongki were also similar to the Veritable Records and Soonam supported the Nan-In Party who insisted the Three-year Mourning at the funeral of King Hyo-Jong. But by recording the Tax reform of Suh-In Party ect., the Tongki was more fair than the Veritable Records.
    I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ry-form record as the primitive memories[the memories for preservation] by contrasting the cultural and collective memories that preserve particular records and remind them of their social identity.[the memories for function] In this respect the collective memories may be apt to be a closed history and the memories for preservation may complement the memories for function by providing various records from time to time. I think Soonam, as a historian, wanted to transfer the memories for preservation to sublate the risk of the memories for fun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