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릉단오제 主神교체 문제에 관한 고찰 -범일국사의 등장 문제- (A study on the replacement of main god in Gangneung-Dano festival(江陵端午祭): the issue on the appearance of Bumil Guksa(梵日國師))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3.11
40P 미리보기
강릉단오제 主神교체 문제에 관한 고찰 -범일국사의 등장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43호 / 259 ~ 298페이지
    · 저자명 : 심형준

    초록

    강릉단오제의 주신은 현재 범일국사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허균의 「大嶺山神讚」(1603)의 기록을 보면 강릉단오제 주신이 김유신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17세기 초에서 20세기 사이에 어떤 계기를 통해서 주신이 바뀌었다고 볼 수밖에 없다. 어떤 이유에서 그리고 언제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하는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18세기 교체론을 주장한 기존의 학자들의 설은 1차 자료에 등장하는 ‘國師’라는 표현에 근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자료의 표현이정확한 신명이 아니라는 점 때문에 18세기 교체론의 확실한 근거가 되지 못한다. 1차 자료를 살펴본다면 19세기까지 주신 교체론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그런데 19세기말과 20세기 초에 걸쳐서 의례가 중단되었다는 다수의 기록이 확인된다. 이 시기는 집단의 기억에 의존한 의례 계승의 시기라 할 수 있다. 이럴 때 언어적 기억이 익숙한 형태로 해석될 개연성이 높아지고 ‘국사성황신’이라는 조어가 가능해졌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바로 망각에 의한 기억 변조가 일어났던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아키바 타카시秋葉隆가 남긴 강릉단오제에 관한 기록을 보면 주신에 대한 관심도 크지 않고 범일국사와 관련된 설화도 단오제 주신과 관련성이 있던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서 20세기 초, 망각에 의한 기억 변조 상황과 인류학적 조사의 영향으로 고조된 의례의 주신에 대한 관심이 맞물리면서 강릉단오제 주신이 비로소 범일국사로 규정되었던 것으로보인다. 이것은 20세기에 이루어진 우리의 전통 창출의 한 사례이기도 하였다.

    영어초록

    Bumil Guksa is known as the main god in Gangneung-Dano festival. But“Daegwansanshinchan(大嶺山神讚)” written by Heo Gyun shows that Kim, Yu Shin(金庾信) was the main god in 1603 in Gangneung-Dano festival. Therefore, it isinevitable that the main god was replaced from some causes between 17th century and20th century. Questions like why and when this change did occur can arise. Thetheories of scholars who argued the replacement in 18th C. are based on the expression‘Guksa(國師)’. But the expression is not exactly same name of the present main god,so it is not the indisputable grounds for the theories of the replacement in 18thcentury. From the 1st materials, the definitive foundations of the theories are not founduntil 19th century. By the way, a number of records of which the ritual was stoppedduring the late 19th C. and early 20th C. are confirmed. This period can be the timeof ritual inheritance dependent on collective memories. At a time like this, it seems thatverbal memories are interpreted as familiar forms, and that a coined word‘Guksaseonghwanshin(國師城隍神)’ can be made. There seem to be occured memorymodulation by oblivescence. Moreover, according to the record on the festival left byAkiba Takashi(秋葉 隆), he didn’t have attention to the main god of the ritual, thefolk tale on Bumil Guksa recorded by Akiba was not either related to the god. Forthese reasons, I guess that the main god of the festival was fixed by Bumil Guksa while memory modulation by oblivescence and interest in the main god of ritual by effect o fanthrop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early 20th C. were related each other. This is also an instance of the invention of our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