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종 연간 조・청 관계의 맥락과 대보단의 시대적 기반 (The Context of Joseon‒Qing Relations in the Reign of King Sukjong and the Periodical Foundation of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1.06
34P 미리보기
숙종 연간 조・청 관계의 맥락과 대보단의 시대적 기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44권 / 2호 / 45 ~ 78페이지
    · 저자명 : 김성희

    초록

    1680년대 이후 청이 중원의 헤게모니를 확고히 장악함에 따라 조선에 대한 청의 외교적 압박이 강화되었다. 청 제국질서에 적응하고 국가를 부지하기 위해 조선은 적극적인 대청사대를 시행하였으며, 1690년대 이후 양국의 관계는 점차 안정 국면으로 접어 들었다. 그러나 사대처의 교체라는 중대한 변화 속에서 조선이 전통적으로 견지하였던 화이론적 사유체계는 시의를 상실하게 되었다. 이에 조선의 군신은 이념의 근간을 새롭게 다지고 왕정의 명분을 강화하기 위한 대내적인 노력을 경주하였다. 조・청 관계의 안정세가 명확하였던 1700년대 초반 명 황제에 대한 국왕의 독점적 의례 공간 대보단이 건립된 사실은 그와 같은 노력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대보단은 조선이 종래 지향하였던 존주대의의 이상과 대청사대의 현실 사이의 길항을 해소할 수 있는 의례적 장치였다. 청과의 마찰은 피하되 종래의 중화보편에 대한 지향을 큰 틀에서 유지할 수 있는 공존의 방편을 마련한 것은 새로운 국제질서에의 적응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해소하는 활로로서의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아울러 숙종은 대보단 의례의 친행을 통해 국왕의 권위를 가시적으로 구현하였으며, 존주대의를 앞장서 선양함으로써 왕정의 명분을 강화하였다.

    영어초록

    Since the 1680s, the Qing Empire’s diplomatic pressure on Joseon has intensified. In order to adapt to the Imperial Order of Qing, Joseon actively implemented diplomatic rituals. Relations between Joseon and Qing have gradually stabilized since the 1690s. However, the opposition prevailed among the intellectual class of Joseon and their hostility against Qing was heightened. Thus, the king of Joseon and his vassals made efforts in order to re‒establish the basis of ideology and strengthen the cause of the monarchy. The fact that the king’s exclusive ritual space for Ming Emperor, the Altar of Great Gratitude (K. Taebodan) was established in the early 1700s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efforts. Taebodan was a ritual device for practicing the ideals of the center of civilization that Joseon had long been internalized. It was an efficient political tool which enabled the king to avoid friction with the Qing and to maintain the traditional ideological system of Joseon. It was also a space to visualize the ritual authority of the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