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릉단오제 산신제 연구 - 고려말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in Gangneung Danoja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01
18P 미리보기
강릉단오제 산신제 연구 - 고려말 조선초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58호 / 173 ~ 190페이지
    · 저자명 : 안광선

    초록

    이 글은 대관령 산신제가 강릉단오제 형성에 영향을 미쳤고 원형성을 담보하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천년 단오’라는 슬로건을 제공한 『고려사』의 기록을 정밀하게 검토하고 이어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성행했던 기은제를 통해 산신제의 원형적 모습을 확인하여 가설을 증명하고자 했다. 『고려사』의 기록은 대관령 치제를 비롯하여 ‘이승사’라는 단서를 남겼다. 본 연구는 이승사가 당시 지장선원(현 보현사)임을 주장하면서 대관령 일원이 성역화 되고, 이어서 민중들의 기도처로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당시 선종사찰은 집단으로 생활하면서 기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공동체 신앙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또한 려말선초의 기은제는 왕실과 지배층의 문화였지만 서민들에게 전해지면서 공동체 신앙의 초석이 된다. 더욱이 기은제를 무교에서 주관함으로써 무교는 예전과는 다른 위상을 갖게 되었고, 성황사의 건립 위치와 민중들의 성향을 이해할 수 있다. 또 산신제와 기은제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민중들에게 뿌리내리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무교의 성장은 민간신앙이 자리매김하는데 공헌하였다.
    남효온이 남긴 영동민속 기록은 기은제의 유풍을 간직한 산신제의 원형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당시 강릉단오제 산신제도 이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mountain god ritual has an original form and identity of Gangneung Danojae.
    Record of ‘Goryeosa’ which has offered a popular slogan ‘Cheonnyeon dano’, and Gieunjae, which was prevalent between late Koryo to early Chosun dynasty, are examined closely to identify several original features of mountain god ritual. ‘Goryeosa’ reveals some clues such as DaeGwanryeong Chijae and Iseungsa Shrine. This study proves that Iseungsa Shrine is Bohyeonsa. Also, it explains how the whole Daegwanryeong region becomes sacred ground and a good place for prayer.
    Gieunjae had used to be for the ruling class however, it was brought to ordinary people, strengthening the basis of community belief. Moreover, Gieunjae shows a tendency of the people and a fine location for Seonghwangsa. It is clear that mountain god ritual and Gieunjae were influenced by each other, and affected the public. Development of Shamanism contributed to stabilization of a folk belief. Therefore, record of folklore of Yeongdong area which is written by Nam Hyoon can be considered as an original form of mountain god ritual that has some Gieunjae tradition in terms of a shaman conducts the ceremony with the residents who used to provide the offering for the ceremony.
    In conclusion, it was difficult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untain god ritual ofGangneung Danojae and the mountain god ritual that has some Gieunjae tradition in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