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端應의 安東 鳳凰寺 三世佛坐像 및 三殿牌 연구 (A Study of the Daneung’s Seated Śakyamuni Triad and Three Palace Plaques of the Bonghwangsa Temple in Andong)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1.08
27P 미리보기
端應의 安東 鳳凰寺 三世佛坐像 및 三殿牌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42권 / 203 ~ 229페이지
    · 저자명 : 고선영, 임영애

    초록

    安東 鳳凰寺 大雄殿 三世佛坐像과 三殿牌는 조각승 端應이 제작하였다. 삼존은 지금까지 목조상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2019년 좌우 협시불 개금불사 과정에서 좌우 협시불은 소조상임이 밝혀졌다. 또한 협시불 대좌에서 묵서가 발견돼, 협시불 대좌는 불상이 제작된 지 2년 뒤인 1694년에만들어졌음을 확인했다. 본 논문은 불상의 재료와 대좌의 제작 시기가 다른 이유를 추정해, 안동봉황사 삼세불좌상 및 삼전패가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에서 갖는 의미를 살펴본 글이다.
    안동 봉황사의 원 사찰명은 황산사인데, 임진왜란 이후 17세기에 중창되면서 사찰명을 봉황사로 바꾼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사명을 바꾼 이후에도 황산사와 봉황사는 함께 사용되었으며, 재건 당시 경비와 자재 조달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삼세불좌상은 평균156㎝의 대형 불상으로 이마에서부터 돌출된 매부리형 코, 정면에서 보일 정도로 깊게 파인 삼각와, 배에서 W형으로 늘어지는 옷주름 등 단응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 그러면서도 본존불과 협시불은 이륜의 모양과 대의의 옷주름 등 세부 표현이 다른 점이 특이하다. 또 부견의와 승기지는 평면화가 진행되어 이전에 단응이 제작한 불상과 시기적인 차이를 보인다. 삼전패는 조선 후기의일반적인 전패와 달리 소박하지만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다음으로 불상과 대좌의 묵서명을분석해 昭影神鏡과 단응 유파는 봉황사에서 1692년에 불상 세 구와 본존불 대좌를, 1694년에 협시불 대좌와 수미단 등을 만들었음을 밝혔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17세기 후반에 강화된정부의 松禁令, 협시불의 재료와 무게, 인근 광흥사 명부전 불사를 근거로 판단하였다. 한편 봉황사 삼세불좌상 및 삼전패 제작을 주관한 단응은 전라도 출신의 승려이지만 주로 경상북도에서 활동했다. 그 이유를 밝히기 위해 단응이 처음 수조각승으로 제작한 <김천 직지사 소조사천왕상>(1665)의 묵서명을 근거로, <완주 송광사 소조사천왕상>(1649)에 단응이 관여했을 가능성을제기했다. 따라서 소조사천왕상을 조성한 경험이 있는 전라도 조각승은 경상도 사찰에 초빙되었고, 경상북도에서 활동하던 소영신경과 문중을 이루어 함께 불사를 진행했다고 파악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조각승 단응은 조각 기술이 뛰어났을 뿐 아니라, 문중 내에서 권위를 지니고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더불어 삼세불상의 재료, 불상과 대좌의 제작 시기가 다른 점은 조선후기 사찰 중수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사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주목할 만하다.

    영어초록

    The Seated Śakyamuni Triad and Three Palace Plaques inside the Daeungjeon Hall, the main building, in Bonghwangsa Temple, Andong were carved by sculptor monk Daneung(端應). The three Buddha statues had been known to be wooden statues, but, when the statues were reconstructed in 2019, the assistant Buddha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ere found to have been made with clay. Also inscriptions discovered in a pedestal of statu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dicated that the pedestal was made in 1694, 2 years after the Buddha statues were made. This study examined the reason why the materials of Buddha statues and the periods of pedestals were different, and the significance of Seated Śakyamuni Triad and Three Palace Plaques in Bonghwangsa Temple in the respect of Buddhist sculpture history.
    The original name of Bonghwangsa was Hwangsansa. But, it is assumed that, when the temple was rebuilt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8, its name was changed into Bonghwangsa. But, even after the name was changed, the two names seem to have been used together. It seems that there must have been financial difficulties in securing materials and other expenses when the temple was reconstructed. And Seated Śakyamuni Triad are big figures the average height of which is 156㎝.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culptor Daneung such as protruding noses resembling hawk's beaks, and deeply carved triangular fossa which are visible from the front side, and cloth rimple drooping with W shape around the belly. But, at the same time, the main Buddha and thos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different in details like forms of earflap and outer robe rimple. In addition, shoulder covering and inner garment were planarized, showing a difference in timing from the Buddha statues produced by Daneung. While Three Palace Plaques is simpler than other palace plaques, it contains important information. By analyzing inscriptions inside the Buddha statues and pedestals, this study revealed that Soyeongsingyeong(昭影神鏡) and Daneung built three Buddha statues and the pedestal of the central Buddha in 1692, and pedestals of attendant buddh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Sumidan in 1694. This study offered the following materials as evidences of such assumption: strengthening of the order not to cut pine trees by the central government, materials and weights of attendant buddh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onstruction of statues of Myeongbujeon Hall in Gwangheungsa Temple nearby. Meanwhile Monk Daneung who presided over the construction of Seated Śakyamuni Triad and Three Palace Plaques was from Jeolla-do Province, but mainly work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Based on the inscriptions in the clay statue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Jikjisa Temple, Gimchon(1665), this study suggested that Daneung may have been involved in constructing the clay statue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Songgwangsa Temple, Wanju(1649). Thus, the sculptor monk who had experiences of building of the clay statue of four heavenly kings in Jeolla-do must have been invited to build Buddhist sculptures in temples in Gyeongsang-do Province, and worked in cooperation with Soyeongsingyeong.
    This study revealed that Daneung was not only excellent in sculpture, but was treated as an authority in the group. Plus, the discovery of this study that the materials of Śakyamuni Triad and the periods of building of the Buddha statue and the pedestal were different can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reconstruction of temples in the later part of the Joseon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