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시대~조선시대 영남지역 출토 鎭壇具의 연구 (A study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excavated from Youngnam regio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Perio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7.06
32P 미리보기
삼국시대~조선시대 영남지역 출토 鎭壇具의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89호 / 33 ~ 64페이지
    · 저자명 : 박호숙

    초록

    진단구를 매납하는 진단의례는 건물이나 탑 등을 축조할 때 건물과 사람들의 안녕과 행운을 빌고 벽사의 의미로 지신에게 행해지는 의례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삼국~조선시대 영남지역 출토 진단구의 특성과 전개 양상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삼국~조선시대 영남지역 출토 진단구를 시대별·지역별로 유형화하고 분석하였다. 유형화의 기준은 출토위치에 의한 분류(I~Ⅳ유형)와, 건축용도에 따른 유형 분류(A, B, C), 진단 용기류에의 잔존 내용물 有·無에 의한 분류(a, b유형)로 분석되고 검토하였다. 이러한 유형분류는 지역별·시대별 진단매납의 전개 양상과 변천뿐만 아니라 사용계층에 따른 진단구의 특성, 의미 도출도 시도되었다. 진단구는 통일신라시대 경주지역에서 다양한 유형이 존재하다가 고려시대에는 진단구의 유형이 줄어드는 양상이다. 이와 더불어 진단구가 지방으로 확산되어 확인되는 양상이다. 또 진단구는 통일신라시대 이래 유력자와 일반민 그리고 사찰 등 다양한 계층에서 넓게 채용되는 양상이다. 진단구 용기는 대부분 항아리류[壺類]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사람의 생활유구에서는 한번 진단의례시 진단유물이 많이 매납되지 않고 있는 반면 유력자와 관련된 건물지 또는 공공건물의 성격을 가진 건물지에서는 용기류에 철물, 청동류, 구슬류 등이 담겨 있는 경우가 다수 확인되었다. 황룡사와 전 인용사지 그리고 불국사 등의 사지에서는 진단구가 다량으로 출토되어 사찰 금당이나 탑의 축조 시에도 건물지나 탑지에 진단구를 매납하고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진단구를 매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경주지역에서 사찰과 관련된 진단유구의 다량 매납 사례는 사찰에서 비불교적인 진단 매납의례를 활발하게 행한 것을 암시하여 진단신앙과 불교의 습합양상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from Youngnam regio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Period and their changing patterns. Usually upon construction of houses and stupa the ritual for the land-god had been practiced to ward off evil spirits, to guard the residents from the unlucky unexpected threats, and to bless good lucks. To study such characteristics and their changing patterns in this article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from Youngnam regio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Period have been categorized. Their location in buildings(Ⅰ, Ⅱ, Ⅲ, Ⅳ), the functions of the buildings (A, B, C), the remains from the ritual jars(a, b) have been criteria upon categorizing. As a result the Hyeongsan River Basin, the Taewha River Basin, and the Eastern Coastal areas have diverse types of many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over time from the Unified Silla Period to Goryeo Period. In contrast the upper basin of the Nakdong River have some examples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s during the Goryeo Period and Joseon period. In the middle basin of the Nakdong River and its lower basin the Goryeo Period had witnessed some spread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In Namgang River Basin many examples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dat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Joseon Period have been found as well. As far as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from Youngnam region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are concerned, they have been found at Gyeongju area. Their types are diverse. Lots of their occurrence and their high concentration rate at Gyeongju area is outstanding in comparison with other areas. But the Goryeo Period had witnessed decrease in the types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Along with this trend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seem to be diffused into neighbouring local regions. But the Joseon Period had witnessed the decrease in their types and occurrenc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n addition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from Youngnam region had been buried by various social classes including ruling classes, ordinary people, and Buddhist templ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eighteen types of the ritual implements for the land-god had been retrieved from Gyeongju area. So such a pattern implies that Gyeongju area might be a centre of the rituals for the land-god. In many case ritual jars have been used as a container to enshrine votive items. Some ritual jars for worshipping the land-god, which had been excavated at Buddhist temple sites, have been found to enshrine iron objects, bronze items, beads and so on. Archaeological discoveries strongly suggest that not only the foundation of a new Buddhist audience hall including that of a stupa construction but also annual periodic occasions might witness the ritual votive implements for the land-god might. This pattern vividly shows the cultural processes in which the Buddhist templ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had accepted the votive rituals for land-god to ward off evil spirits and protect the temples from the various evil threats, which must be non Buddhist elements. It must be confessed that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data, analytical processes, and interpretational processes including logical leaps and faults, which must be my full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