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회곽묘의 변용에 관한 소고 -이단굴광묘의 발생과 관련하여-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Lime-Soiled Mixture Tomb(灰槨墓) of Joseon Dynasty Period -With respect to occurrence of two-step digging tomb(二段掘壙墓)-)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3.04
29P 미리보기
조선시대 회곽묘의 변용에 관한 소고 -이단굴광묘의 발생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95호 / 179 ~ 207페이지
    · 저자명 : 김한상

    초록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일찍부터 시작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문헌사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상당기간 고고학적인 연구는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폭발적인 발굴조사 결과에 힘입어 점차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고고학적인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의 주 연구대상인 조선시대 이단굴광묘는 구조의 단순함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유물이 출토되는경우가 거의 없어서인지 여타 묘제와의 관계 속에 비교대상으로서의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을 뿐, 발생 배경이나 전개 양상과 같은 그 자체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단굴광묘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있어서 회곽묘와의관련에 주목하고, 특히 회곽묘의 변용에 연관지어 이단굴광묘의 발생에 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먼저 회곽묘를 예학서(특히 주자가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무덤 조성방법이행에 대한 충실도를 바탕으로 Ⅰ~Ⅳ류로 구분하고, Ⅲ류는 다시 회(灰)의 사용 비율에 따라 두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이 중 Ⅳ류의 경우는 근간에 종종 확인되고 있는 것처럼 회곽을 조성하지 않고 단지 회개(灰蓋)만을갖추고 있어 회장묘(灰葬墓)로 부를 만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굴광방식이이단굴광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회장묘는 형태적인 면에서볼 때, 이단광벽 자체가 회곽묘에 있어서 회곽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수 있으며, 이는 아마도 회를 사용하지 않은 채 회곽묘의 형식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조묘자(造墓者)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이단굴광묘는 경제적으로 기반을 갖추고 있었던 상위계층과는 달리 회를 사용하는 것이 여의치 않았던 하위계층에서『朱子家禮』에서규정하고 있는 분묘형식인 회곽묘를 변용하여 사용하였던 묘제라는 것이필자의 생각이다. 이는 본고에서 분류한 Ⅳ류 회장묘가 조성되고 있는 사실에서 방증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하계층을 막론하고 조선시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에 있어서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주자가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분묘 조성방식은 경제적으로 여의치 않은 하위계층의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크나큰부담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灰를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을 하위계층의 사람들로서는 차선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며,결국은 이러한 이유에서 이단굴광묘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Ⅳ류 회장묘에서 알 수 있듯이 이단굴광묘는 회곽묘의 변용에 따른 결과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ctually, research on the grav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can be said to start relatively early because the studies that organized historical contents with the start of the studies that basically organized various memorials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conducted in the royal and the private sector began to be published.
    However, in early days, mainly literature research was dominant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in a limited range focused on tombs of noblemen or royal tombs also in terms of the archaeological field.
    But, thanks to excavation outcom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related remains increased rapidly across the country from 1990s to the present,recently, research on the grav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Also, recently, taking another step forward from the existing studies, the studies trying to check regionality of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of each regio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conducted and in addition,the studies on individual artifact are making a lot of achievements.
    In fact, though considerable two-step digging tomb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re excavated and studi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omb ruins,few theses conducted research targeting itself because few artifacts are unearthed in two-step digging tomb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ain research target of this thesis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There are only studies assuming that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must have been adopted as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of common people by trying stratification along with other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based on excavated remains and digging method and whether to use a wooden coffin and the studies targeting itself such as occurrence background and fu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etc. can be said not to exist at all. Occurrence of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related to transformation of lime-soiled mixture tombs(灰槨墓) was briefly examined.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background that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appeared,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 with lime-soiled mixture tombs(灰槨墓) and especially,In conclusion, the author thinks that a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was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used by the lower class that could not afford lime unlike the upper class that had economic foundation by transforming lime-soiled mixture tomb(灰槨墓), a tomb type prescribed in 『Jujagarye(朱子家禮)』. This can be shown in the fact that Ⅳ type Hoejang tomb(灰葬墓) classified in this thesis were created.
    The tomb creating method, prescribed in 『Jujagarye(朱子家禮)』greatly affecting the mental world of the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regardless of the upper and lower class, must have been a great burden to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 not economically abundant.
    For this reason, it is judged that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 who could not get lime easily could not help but prepare the second best policy and finally,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appeared for this reason. After all, as can be seen from Ⅳtype Hoejang tomb(灰葬墓),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should be seen as the product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lime-soiled mixture tombs(灰槨墓).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