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 초 사직단 제도 개정과 조선 초 사직단 논쟁 (The Revision of Sajik Ritual System during the early Ming Dynasty and the Debates about National Sajik Altar Alteratio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5.10
12P 미리보기
명 초 사직단 제도 개정과 조선 초 사직단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4권 / 5호 / 21 ~ 32페이지
    · 저자명 : 백소훈

    초록

    땅과 곡식 신의 제단인 사직단은 왕조의 정통성을 상징하는 가장 중요한 제례시설이기 때문에 그 건축제도는 명과 조선왕조의 중시를 받았다. 명은 건국 초에 황실 및 모든 지방행정 구역에 사직단을 건설하도록 명하였고, 사직단이 설치되는 지방 사직단 시설의 규모, 구성, 배치 등에 차등을 두는 규범을 『홍무예제』라는 책에 담아 전국에 공포하였는데, 그 가운데 한 권이 조선에 유입되었다. 외교관계상 조선은 명나라의 제후국을 자청하였기 때문에 수도인 한양의 사직단의 제도를 결정함에 있어서 명 황실이 정한 등급질서와 표준규범을 존중하여야 했는데, 이 책이 담고 있는 새로운 사직단 제도는 조선왕실과 학자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고 정치적 갈등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조선 세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집현전과 예조 등으로 하여금 옛 문헌들을 연구하게 하고 『대명집례』등 명의 전체 예제를 보다 체계적으로 서술하고 있는 서적을 입수하고자 시도하였고, 최종적으로 전통적인 사직단 제도를 계승하면서도 명나라가 정한 새로운 사직단 제도를 받아들여 새로운 사직단 제도를 만들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들의 겪었던 갈등이 명 초 국가 예제 제도 건설의 혼란에서 파생된 결과임을 알지 못했다. 명 태조는 건국 초 내각에 의해 만들어진 사직단 예제가 복잡하고 근거가 모호하다고 판단하여 수차례에 걸쳐 개정하였는데, 잦은 개정은 명 내부에서도 혼란을 야기하였을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외국인 조선에도 혼란을 야기한 것이었다. 본 연구는 먼저 조선 초 사직단 건설 및 개축 과정과 이를 둘러싸고 발생한 논쟁을 개괄하고, 다음으로 명나라의 사직단 제도가 어떤 과정을 거쳐 건설되고 개정되었는지를 다양한 문헌 고증을 거쳐 정리한 다음, 그 결과가 조선 초 한양 사직단 건설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ajik, the altar of land and grain was trea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ional ritual facilities by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because it symbolized the legitimacy of a dynasty, and its architectural ordonnance was arranged strictly by the government. But when the Joseon government considered to reconstruct its national Sajik altar in Hanyang during the Sejong period, they found the new architectural ordonnance for local Sajik altars recorded in 『Hongwulizhi(洪武禮制)』 had been published by the Ming government was hard to adopt, because it was too narrow and totall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style. Above all things, they doubt of there was other architectural ordonnance for kingdoms, not for local governments. King Sejong ordered to investigate the origin form and former examples, and tried to get other ritual documents of authority published by the Ming government such as 『Damingjili(大明集禮)』. After several academic researches and intense debates, they decided to create a new architectural ordonnance for their national Sajik altar, its form was in accord with the traditional style and its size was in accord with the new ordonnance. But they did not know there had already been the architectural ordonnance for the kingdom in the Ming dynasty. Because the first emperor of the Ming dynasty had changed its Sajik ritual system several times, even the whole country of the Ming dynasty also had gone through chaos on this issue even after his death. Consequentially, the official documentation works had been made partially, there was no a complete document on this issue even in the Ming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