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의 코스닥 SPAC 합병상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nlisted Korean Firms Going Public through SPAC List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21.03
31P 미리보기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의 코스닥 SPAC 합병상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4권 / 3호 / 527 ~ 557페이지
    · 저자명 : 홍지헌, 양동우

    초록

    우리나라는 IPO 상장뿐만 아니라 2010년에 SPAC 합병상장까지 도입되어 비상장기업의 상장 스펙트럼이다변화되어 왔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이 IPO 상장 또는 SPAC 합병상장을 선택하는 기업의 기업내적특성과 상장절차특성 결정요인 연구에 관한 것으로 회귀분석을 통한 연구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경우 재무적으로 열위에 놓인 비상장기업이 IPO 상장보다 SPAC 합병상장을 선호할것이라는 국내외 선행연구가 지지가 되지 않았다. 둘째, 우리나라도 SPAC 합병상장은 상장처리 기간이 IPO 상장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소요되는 등 상장난이도가 IPO 상장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우리나라도SPAC 합병상장은 합병가격 산정의 변동성이 낮아 상장추진 기업의 기업가치 예측이 IPO 상장보다 안정적인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우리나라 SPAC 합병상장도 미국 선행연구처럼 규모가 크고 평판이 좋은 주간증권사보다 규모가 작더라도 인수합병 자문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중소형 주간증권사와 매칭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섯째, 우리나라 SPAC 합병상장은 미국보다 활용도가 낮은 편으로 그 원인은 SPAC 결성규모가 미국보다현저하게 작아 대규모 공모자금을 기대하는 우리나라 비상장 성장기업이 SPAC 합병상장을 상장방법으로선택하기에는 충분한 공모자금을 조달할 수 없어 제약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입된 지 10년이 지난 한국형 SPAC은 미국보다 상장방법으로의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특히 결성규모가 매우 작아 우량 비상장기업의 상장방법으로 채택되기에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전기차, 바이오 등 우리나라 유망 중소기업의 규모와 성장성을 참작해 SPAC 결성규모 확대를 고려할 필요가있고, 우리나라 비상장기업의 상장 채널로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국형 SPAC 합병상장 제도의 유용성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초록

    Not only IPO listing but also SPAC listing has been selected as a listing strategy by unlisted Korean firms since 2010.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terminants of unlisted Korean firms to go public by taking either SPAC listing or IPO listing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presumed that the choice of either SPAC listing or IPO listing by unlisted Korean firms was not influenced at least by their financial superiority or inferiority. Even if the prior research inferred that financially superior unlisted firms tended to prefer IPO listing to SPAC listing, however, this study verified that unlisted Korean firm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SPAC listing and IPO listing by the gap in their financial figures. It indicates that the smallness of Korean SPAC in size (an average of nine million dollars) acts as a negative constraint for inducing blue-chip unlisted Korean firms to raise equity financing through SPAC listing.
    Secondly it was proved that the SPAC listing process was more difficult and complicated in that SPAC listing usually took longer than IPO listing.
    Thirdly it was analyzed that SPAC listing was more stable in terms of calculating the listing valuation of unlisted firms because its listing price has been determined only by the parties of the merger deal, not by the underpricing mechanism of book-building process. This result seems to be a strong point for SPAC listing especially at the time of bear market.
    Fourthly it was found that the matching between unlisted firms and underwriters for SPAC listing has been made mainly by how actively the underwriters were involved in the listing process, not just by the seeming reputation of underwriters.
    Lastly, unlike in the US, SPAC listing has been less active in Korea due to the smallness of the Korean SPAC in size, giving way to IPO listing.
    A ten-year old Korean SPAC listing system is now standing at crossroads of change. It is particularly suggested that the offer size of the Korean SPAC has to be scaled up for fast-growing unlisted Korean firms to raise equity financing effectively through SPAC lis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