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흥천사 극락보전 목조 아미타불상과 대세지보살상 연구 (A Study on the Statue of Wooden Amita Buddha and Mahasibamaprata Bodhisattva in Heungcheonsa Templ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12
30P 미리보기
흥천사 극락보전 목조 아미타불상과 대세지보살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53호 / 41 ~ 70페이지
    · 저자명 : 심주완

    초록

    서울 흥천사 극락보전에 봉안된 목조 아미타불상과 대세지보살상에 대하여 조각사적 의미를 밝혀보았다. 흥천사 목아미타불좌상은 중소형의 규모이지만 장대하면서 활력이 넘치고 세련미가 돋보이는 불상이다. 이 불상은 도상과 양식적 특징을 살펴 임란직후인 17세기 초로 편년하였다. 조각승 각민파가 조성한 대표작으로 평가되며, 각민에 의해 조성된 1606년 공주 동학사 대웅전 목삼세불좌상 보다 앞선 양식으로 각민파의 사례 중에 가장 이른 시기로 편년되어 그 의미가 크다. 이를 통해 석준-각민-행사로 이어지는 계보를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원 봉안처는 19세기 경 문경 오정사에서 이운한 것으로 존명은 석가삼세불 혹은 비로자나삼세불의 좌존 약사불일 가능성 높다. 그러나 약사불 뿐만 아니라 아미타불, 다보불, 미륵불 등으로도 해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중에서 신앙하는 아미타불로 명명해도 문제가 없음을 밝혔다.
    흥천사 극락보전 목대세지보살좌상은 극락보전 삼존상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상으로 어깨가 좁고 세장한 상체에 큼지막한 하체로 안정감을 유지하고 있는 보살상으로 적정한 긴장감과 정제된 미감으로 품격이 느껴지는 작품으로 평가하였다.
    이 보살상은 도상과 양식적 특징을 통해 17세기 2/4~3/4분기로 편년하였다. 17세기 전반기 신체 비례의 영향 아래 조각승 삼인이 조성한 1648년 흥국사 무사전 목지장보살좌상 등과 유사함을 밝혀 보았다. 존명은 현재 오랫동안 사중에서 대세지보살로 명명되고 있는데 학술적으로 관음보살일 가능성이 높고 문수보살, 미륵보살일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the sculptural meaning of the wooden Amita Buddha statue and Mahasibamaprata Bodhisattva statue enshrined in the Architecture of Geukrakbojeon(極樂寶 殿) Hall of Heungcheonsa Temple in Seoul.
    Although the wooden seated Amita Buddha statue is small and medium-sized, it is a Buddha statue that is majestic, vibrant and refined. Looking at the paintings and stylistic features, the statue is presumed to be in the early 17th century, shortl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The statue is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created by Buddhist monk sculptor Gakmin and Gakmin School. This Buddha statue was created by a monk sculptor Gakmin, which was earlier than a wooden statue of the Three Buddha of the Donghaksa Temple of Gongju in 1606. This Buddha statue is regarded as the earliest of the works of the Gakmin school. The study provided another opportunity to check the genealogy leading to a monk sculptor Seok-oon – Gakmin – Haengsa. The statue is believed to have been enshrined around the 19th century in Ojeongsa Temple in Mungyeong. The name of the statue is likely to be the Medicine Buddha enshrined on the left side of the Three Buddhas.
    The wooden Mahasibamapratata Bodhisattva statue is the largest of the three statues in the Architecture of Geukrakbojeon Hall of Heungcheonsa Temple. This Bodhisattva statue has a narrow, long upper body, but has a sense of stability with a large lower body. This Bodhisattva statue is regarded as a work of elegant tension and refined taste. This Bodhisattva statue is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second quarter to third quarter of the 17th century by analyzing the drawings and stylistic features. The Bodhisattva statue was discovered to resemble the 1648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Statues in the Architecture of musageon(無私殿) of Heungguksa Temple, which was made by Buddhist monk sculptor Samin. The name of the statue has long been known as Mahasibamaprata Bodhisattva, which is more likely academically to be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also to be Manjusri or Maitreya Bodhisattv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