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and the Multicultural Attitude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11
20P 미리보기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실과교육연구 / 22권 / 4호 / 173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현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분석하여 초등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교 2학년 재학생(n=201)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배경 변인과 다문화 경험 및 인식, 다문화교육 효능감에 대한 문항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검정, 교차분석 및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경험에서 해외여행은 110명(54.7%)이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반 동아리 활동 147명(73.1%), 봉사활동 187명(93.0%)에 비해 다문화와 관련된 동아리 활동은 188명(93.5%), 봉사활동은 163명(81.1%)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경험은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다문화 봉사활동과 다문화교육 수강 경험)이 높게 나타나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인식에서 외국인을 보았을 때의 느낌은 국적이나 피부색에 따라 느끼는 정도가 크게 차이가 있었고, 미국 및 유럽지역의 문화보다 아시아 지역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 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다문화교육 지도능력, 다문화교육 교수, 학습 방법 및 내용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문화 경험 정도에 따라서는 다문화교육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다문화교육 지도능력, 다문화교육 교수, 학습 방법 및 내용에서 유의적인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교육과정 운영에서 다인종, 다문화사회 이해 및 수용성의 확대뿐만 아니라 새로운 방식의 다문화교육 방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문화교육은 가치와 태도 교육으로 교육내용과 방향이 가치와 태도를 결정짓기 때문에 초등 예비교사가 올바른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대학교 저학년부터 다문화 태도 및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의 구성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For this, the survey targeting the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a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items of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variables and multicultural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and of the directive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effect factor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ulticultural efficac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ly, with regard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110 participants (54.7%) were found to have the overseas trips, 147 participants to participate in the general club activities, and 187 participants (93.0%) to engage in the voluntary services. On the other hand, 188 participants (93.5%) were found not to experience the club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multiple cultures and only 35 participants (17.4)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 of engaging in the voluntary services, which shows that the club activities and the voluntary services associated with the multiple cultures were revealed to experience at a significantly lower rate.
    Secondly, feeling in meeting a foreigner varied widely on his/her nationality and complexion and th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much less understanding of the cultures of Asian region than those of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irdly, the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recognition affecting the multicultural attitude than the male students, which show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lticultural recognition (p<.001) on their gender.
    Fourthly, with regar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the directive capac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p<.05),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001) among the sub-fact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on the participants' gender.
    Fifthly,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was found to be a predictor have an independent effect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which reveals that the multicultural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correlationship with the multicultural recognition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The expanded understanding and receptivity of the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 society need to be paired with the various method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educational contents placing an emphasis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 and receptivity shall be constructed for the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in order for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have a appropriate multicultural attitude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fficac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