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와 퇴계 이황의 <천명도>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Vitruvian Man’ by Leonardo da Vinci and ‘TienMing Drawing’ by Toegye Yi Hwang)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9.05
18P 미리보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lt;인체비례도&gt;와 퇴계 이황의 &lt;천명도&gt;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예술 / 43호 / 139 ~ 156페이지
    · 저자명 : 박상원

    초록

    도상체계(Iconography system)를 바탕으로 해석해 본다면 퇴계의 <천명도>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인체비례도> 간에는 부합하는 유사성이 존재한다. 우선 하늘과 땅이라는 대우주의 실현체로써 소우주, 즉 인간을 중심에 두고 그 관계성을 규명하고 있다는 것이 공통된 유사성이다. 또한 도상의 형태로 보면 천원지방(天圓地方)의 형태를 갖는다. 원(圓)은 시간의 영속성, 정신, 천리(天理), 원만(圓滿), 평등(平等), 완전성을 뜻하고 방(方)은 땅의 순리, 고정성, 생명력, 대립, 자연물, 지속성을 뜻한다. 물론 사람을 형상화 하는데 있어 레오나르도는 인간의 육체(肉體)를 완벽한 비례로 표현했고, 퇴계는 사단칠정(四端七情)이라는 사람의 심체(心體)를 사용했다.
    두 도상 모두가 하늘은 동그라미, 땅은 네모로 그 형상을 규정하고 사람은 세모의 형태를 바탕으로 확장하고 있다. 천지인(天地人)이라는 3분법의 세계관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체계를 이루고 있다. 15세기 이탈리아와 조선이라는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하늘과 땅 그리고 사람을 인식하는 도상(Icon)이 같다는 것은 동그라미, 네모, 세모(◯ □ △)가 인간이 인지하는 본능적인 심상지리라는 반증이기도 하다. 그것으로 인간의 심성이 서로 상통한다는 증거를 찾을 수 있으며, 또한 여기에서 부각되는 차이는 동서양 역사발전의 서로 다른 행로의 시작점으로도 볼 수 있다.
    <인체비례도>가 서구유럽 ‘르네상스인’의 표상이었다면, <천명도>는 조선 ‘선비’의 대표적 표상이었다. 15-16세기 서양 르네상스인의 대표적인 인물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한국 선비정신의 대표적인 인물 퇴계가 인식했던 세계관을 각자의 그림을 통해 비교함으로써 동서양 세계관의 차이를 인식해 보고자 한다. 서양이 현상학, 과학, 수학, 의학, 해부학, 건축학 등에 중심을 둔 물질적인 발전을 지속적으로 진행했다면, 서양에 비해 동양은 심학(心學)의 발전을 도모했다. 이러한 동서양 문명의 차이는 15세기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고, <천명도>와 <인체비례도>에 나타난 차이는 동서양 문화를 가르는 중요한 분기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e interpretation based on the iconography system,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ienMing Drawing> by Toegye and <The Vitruvian Man> by Leonardo da Vinci. First, the common similarit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y focusing on a microcosm such as humans as the realization of the macrocosm like heaven and earth. Also, in the aspect of iconography, it is based on the form of circular heaven and square earth. The circle means temporal permanence, spirit, the law of nature, amicability, equality, and completeness while the square means the flow of earth, fixation, vitality, confrontation, natural objects, and continuity. Of course, in order to represent human, Leonardo da Vinci expressed human’s body into the perfect proportion while Toegye used human’s main body of mind called ‘四端七情’.
    Both iconographies define the heaven as circle, the earth as square, and humans as triangle. The whole system is based on the trichotomous world view called ‘heaven-earth-human’. The same icons of heaven, earth, and human perceived by the different cultural areas in Italy and Joseon of the 15th century, are the counter-evidence showing that such circle, square, and triangle(◯ □ △) are the instinctive imaginative geography cognized by humans. This is a proof showing that humans’ nature has many things in common, and the differences highlighted here might be the starting point of different paths to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Vitruvian Man> was the symbol of ‘Renaissance man’ in the Western Europe while <TienMing Drawing> was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classical scholars ‘Sun-bi’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is study aims to cognize differences in the world view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y comparing the world views of Leonardo da Vinci who is the representative Renaissance man of the West in the 15th-16th century and Toegye who is the representative man with the spirit of virtuous scholars in Korea. The West continuously proceeded the material development focusing on phenomenology, science, mathematics, anatomy, and architecture while the East promote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ethics. Such differences in the civiliza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ully started in the 15th century, and the differences shown in <TienMing Drawing> and <The Vitruvian Man> could be interpreted as an important point separating the cultures of the East and the W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