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상종에서 미륵정토와 아미타정토의 융합 (The Convergence of Maitreya’s and Amitabha’s Pure land views in the Dharma-laksan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12
32P 미리보기
법상종에서 미륵정토와 아미타정토의 융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56호 / 441 ~ 472페이지
    · 저자명 : 이경화

    초록

    이 글은 법상종의 인식구조에 따라 아미타와 미륵의 시공간적 개념이 어떻게 예
    술로 재현되는가 하는 관점에서 살피고자 한다. 법상종에서의 淨土(佛性)는 眞如의
    완전한 깨달음으로 특징지어지고 거기에 이르는 궁극적인 인식으로 이해된다. 법상
    종은 세계를 이루는 법의 독특한 상(특질)을 인간의 관념작용을 통해서, 현상계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궁극적 실체인 佛性의 발견에 그 목적을 둔다. 불성은 완전히 깨달
    은 眞如에 의해서 특징지어지지만, 체계적이고 점진적인 統覺의 단계(보살도)에 의
    해 실현된다. 그것은 모든 정신활동의 기초인 내적 변화의 최종산물이다.
    실제로 미륵정토와 아미타정토는『 법화경』과 같은 대승불교 초기 경전에 따라
    서 현상적인 대립경쟁 관계인데 반하여, 7세기 이후 法相宗의 관점에서는 두 정토가
    융합되는 경향이 있었다. 미륵의 도솔천은 대승불교 세계관에서 윤회의 삼계(無色
    界, 色界 欲界)의 맨 아래층에 존재한다. 그는 석가에 이어 부처가 될 미래의 붓다이
    며 현재는 보살로 정의되어 있다. 아미타는 석가 성불 이전에 이미 부처가 된 과거
    불이며 三界를 초월한 완성된 정토를 가지고 있다. 두 정토는 7세기 대승불교의 정
    복과 함께 미륵의 정토가 결국 아미타정토로 흡수되었다.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석조아미타불입상은 대당외교관직을 역임한
    신라 육두품 신분의 김지성에 의해 719년경 삼층석탑과 함께 만들어진 불상이다. 감
    산사의 두 정토를 대표하고 있는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의 현상 이면에 있는 실
    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두 불상은 법상의 범주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감산
    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은 정토의 실현인 불성(진여)의 깨달음을 통해 재현되
    었다. 왜냐하면 미륵상이 발아-미완-가능성의 이미지이고 아미타가 만개-완성-완
    전-정토-불성의 재현체계를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정토를 가시적으로 증명할 수 없지만 현상으로 끌어내려 경험을 하도록
    像을 만든다.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재현하였으므로 相 혹은 像의 진의를 찾아야 한
    다. 실상은 현상의 내부에 존재하며 우리는 그 실체, 본성을 정토로 보게 된다. 도솔
    천과 극락은 인간의 관점에서 가까움(近)과 먼 것(遠)의 대조이다. 욕계에 있는 도솔
    천은 보살지의 수행을 필요로 한다. 삼계를 벗어난 정토로 가기위해서이다. 법상의
    범주에서 두 정토는 결국 보는 사람의 마음에서의 경쟁이지 분별과 집착을 떠나면
    하나의 진여의 세계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감산사 미륵보살과 아미타상은 8세기 신
    라사회 안에서 궁극적으로 불성에 이르는 길을 재현한 주목할 만한 법상종미술이다.

    영어초록

    In Buddhism, the Pure land is a state of mind. This study examined two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Pure Land (byMaitreya and Amitabha) and how these were integrated
    into a coherent system in the Dharma-laksana. To this end, this study focused
    on 8th century Buddhist images found at Kamsan-sa, Kyungju, South Korea.
    Maitreya in the current time is a Bodhisattva, the Buddha before he attained
    supreme enlightenment. By contrast, Amitabha is the Buddhaof past, hence he presides
    over a Pure Land free from the Buddhist transmigrations. Amitabha was popular
    among the masses, whereas Maitreya was admired by the elite. These two Buddhist
    branches, therefore, were essentially in conflict with each other. After the 7th century,
    in the Dharma-laksana, these two branches tended to merge and Amitabha’s Pure
    Land became dominant.
    Stone-carved standing statues ofMaitreya and Amitabha at Kamsan-sa were built
    together with the three-story pagoda in 719 by the order of Kim Jisung. As these statues
    represent two different Pure Lands, each of them may be treated as separate Buddha
    images. The Maitreya statue conveys a Not-Yet possibility, whereas Amitabha
    expresses completeness. Nonetheless, they contain the same epigraph implying that
    people should seek the essence of Buddhism, not the appearances they are representing. The Pure Land cannot be demonstrated, but it can be imaged. The recognition of
    transmigration fromMaitreya to Amitabha was the main contribution of the Dharmalaksana
    to Buddhism. An enlightenment would be achieved byexperiencing their different
    appearances, while recognizing that they are the same (True Suchness,
    bhutatathata). Hence, the statues ofMaitreya and Amitabha at Kamsan-sa would suggest
    a path to Buddhahood in the form of Dharma-laksana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