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위사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삼존상 연구 (A Study on Amitabha Buddha Triad in Geungnakbojeon, Muwisa Templ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4.10
32P 미리보기
무위사 극락보전 아미타여래삼존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18권 / 161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광희

    초록

    본 논고는 無爲寺 阿彌陀如來三尊像의 형식, 제작기법의 특징 및 사찰의 중수내력을 구체적으로 고찰하여 제작시기를 재검토하고 그 중요성을 다룬 글이다.
    무위사 극락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아미타여래삼존상은 보물 제1312호로 지정되어 있다. 등신대의 크기에 아미타, 관음, 지장보살로 구성된 형식 및 비례, 착의법 등에서 14세기와 조선초기 15세기적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보살상들의 반가좌 자세와 관음보살이 받쳐 든 새가 앉아있는 정병 등에서는 이 불상만의 독창성도 잘 반영되어 있다.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상은 2009년에 시행된 정밀조사를 통해 본존불과 협시보살상의 재료가 다르며 1987년 개금 및 보수 과정에서 많은 변형이 있었음이 밝혀졌다. 1932년의 사진을 통해 변형 부분이 확인되면서 2010~2012년에 걸쳐 불상의 원형을 찾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아미타상은 몸체와 연화좌에 각각 腹藏物을 봉안하는 독특한 구조임이 밝혀졌다. 제작기법은 소조불상인 아미타상은 몸체와 연화좌가 연결된 목심 위에 점토를 붙여 조형하였고 목심 외면을 거칠게 쪼아 흙의부착력을 높였음이 확인되었다. 관음과 지장보살상은 목조로서 여러 조각의 나무를 이어 못으로 고정시켰으며 일부 굴곡진 부분은 흙으로 마무리하여 목조와 소조기법을 혼용하였다. 이와 같이 본존불과 보살상은 주재료가 다르며, 본존불의 목심은 느릅나무, 보살상들은 소나무를 사용하여 나무의 종류도 다르다. 또한 팔각 형태의 대좌는 비슷하여 공통점도 있으나 얼굴의 형태와 이목구비, 옷주름, 연화좌의모양 등 세부 표현에서는 많은 차이점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점은 여러 해석이 가능하지만 사찰의 내력을 참고해 보면 제작시기의 차이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상의 제작연대는 1430년, 1476년, 1478년 등으로 세 존상이 동시기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되어 왔다. 1430년은 봉안처인 극락전이 중건된 시기이며, 1476년은 불상의 뒤에 그려진 아미타삼존벽화가 조성된 시기 그리고 1478년은 장흥 보림사 북탑지에 언급된 연대에 기인한 것이다. 필자는 아미타불은 1430년 극락전 중건 당시 본존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며, 이어서 1478년경 보살상이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론하였다. 이는 극락전 창건 당시 전각 내 주불로서의 본존불의 기능, 본존과 협시상이 시간적 차이를 두고 만들어진 다른 사례가 있는 점, 15세기 水陸社로서 사찰 역할의 확대, 국가에서 지역민으로 이행되는 후원계층 변화 등에 의거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specifically examines when Amitabha buddha triad in MuwisaTemple was made by studying its forms,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therepairing history of the temple, and investigates its importance.
    Amitabha buddha triad enshrined in Geungnakbojeon, the hall of Paradise,in Muwisa Temple, is designated as the Treasure No. 1312. This triad is knownas a representative work showing the features of the 14th and the 15th centuryin the early Joson Dynasty from the life-sized statues, statues consisting ofAmitabha, 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theirproportions and the dressing. In addition, it reflects its own creativities wellfrom the postures of Bodhisattvas sitting with their legs half-crossed and akundika with the bird seated on which Avalokitesvara Bodhisattva is holding.
    Through a thorough examination on Amitabha buddha triad in MuwisaTemple carried out in 2009, it turned out that the materials used for the mainBuddha and Bodhisattvas on the right and left of the main statue weredifferent. There were also many modifications in the process of repainting thestatues with the gold and the maintenance in 1987. As modified parts werefound through the photos taken in 1932, the work finding the original forms ofthe statues was carried out throughout 2010 and 2012. In addition to this, itwas found that the statue of Amitabha was to be a unique structure which thecontents found inside of the statue of Buddha were enshrined in each of itsbody and a lotus pedestal. As the statue of Amitabha was the sculpturedBuddha, its production technique was to add clay on the wooden coreattached from the body to the lotus pedestal, and it was found that the claywas easily adhesive by roughly pecking the exterior of the wooden core. AsAvalokitesvara Bodhisattva and Ksitigarbha Bodhisattva were the woodenstatues, several wooden pieces were connected and fixed with the nails, andthe clay was used for some curved parts. This represents that statues weremade by the wood and using the modeling techniques together. As mentioned,not only the main materials of but also the kinds of wood used for the mainBuddha and Bodhisattvas are different. An elm tree and a pine tree were usedfor the main Buddha and Bodhisattvas respectively. Also, the octagonalpedestals of statues show their similarities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detail such as the types of faces, facial features, wrinkles in their dress and theshapes of the lotus pedestals. These differences allow various interpretations.
    However, when studying the history of the temple, it would be considerablethat their production time may not be the same.
    As the production period of Amitabha buddha triad in Muwisa Temple wasin 1430, 1476 and 1478, it was estimated three statues were made at the sameperiod. The enshrined hall, Geungnakjeon, was built in 1430, the mural of theAmitabha triad behind the Buddha statues was painted in 1476, and the year of1478 came from the period mentioned in the chronicle discovered in the northpagoda in Borimsa Temple, Jangheung. In this thesis, I would infer that thestatue of Amitabha was built as the main Buddha at the time of theconstruction of Geungnakjeon in 1430, and Bodhisattvas were constructed inapproximately 1478. This is based on its function as the main Buddha in theroyal palace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Geungnakjeon, other casesshowing that the main Buddha and Bodhisattvas on the right and left of themain statue were made in a different time, and the changes of sponsors' classdue to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the temple as Suryuksa where the ritual forthe spirits dead in the water and the land was held in the 15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