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명어의 전부요소 ‘크다[大]’계열의 고찰 (A Study on the 'Keuda' Family of Words Used as Prefixes in Place Nam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3.12
38P 미리보기
지명어의 전부요소 ‘크다[大]’계열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명학 / 19권 / 189 ~ 226페이지
    · 저자명 : 황금연

    초록

    본문의 논문은 지명의 전부요소 중 ‘크다[大]’와 유연성 있는 어휘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크다[大]’계열의 전부요소 유형화에 목적을 두었다. 현존 지명의 전부요소를 대상으로 하되, ‘크다’계열의 전부요소를 분석, 의미 해석에서 통시적 태도와 공시적 태도를 견지했다.
    ‘크다’의 의미를 갖는 전부요소에는 ‘큰-’, ‘한-’, ‘대(大)-’, ‘곰-’[熊], ‘말-’[馬], ‘왕(王)-’, ‘덕(德)-’, ‘인(仁)-’, ‘의(義)-’, ‘홍(洪)-’ 등이 있다. 이들 중 ‘큰-’, ‘한-’, ‘곰-’, ‘말-’은 고유어, 나머지는 한자어 전부요소이다.
    고유어 전부요소 ‘한-’은 ‘漢, 韓, 翰’ 등으로 한자어로 표기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들은 단순히 음만 빌린 표기여서 그 의미는 ‘크다’의 의미를 갖는다. ‘한-’의 이형태로는 ‘항-, 황-’도 나타난다. ‘곰-’과 ‘말-’은 각각 고어(古語)인 고유어 ‘곰(<고마)’과 ‘(<(宗)’에서 기원한 것으로 보았다. 그러므로 현존 지명 중 ‘곰[熊]-’, ‘말[馬]-’이 동물 명칭과 직접 관련된 지명은 ‘크다’의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았다. ‘왕(王)-’은 ‘큰다’의 의미가 있을 때와 ‘首長’의 뜻이 있는 명사로 쓰일 때는 별개 지명으로 파악하였다.
    ‘덕(德)-’은 고대 지명에 ‘山’과 대응시킨 논의가 있으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에서 공통으로 ‘大․高’의 뜻으로 해석하였고, ‘德 : 十’ 대응에 대해서도 재고해야 함을 통시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인(仁)-’, ‘의(義)-’도 ‘크다’ 의미로 전부요소에 쓰임을 살폈고, ‘義谷:의실:(안)느락골’의 ‘義:늘’의 대응은 ‘늘’이 ‘大․廣’의 뜻이 있음에 비추어 파악하였다. ‘홍(洪)-’은 전부요소에 기본 의미인 ‘크다’의 뜻으로 쓰이지만 ‘넓다’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 한자어에 대응하는 고유어 표현이 나타나지 않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Keuda' (meaning large) used in the prefixes of place names and in flexible words, aiming to typify the prefixes in the 'keuda' famil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prefixes of existing place names, sticking to diachronic and synchronic attitudes in their analysis an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ir meaning. Prefixes with the meaning of ‘keuda’ include ‘keun-’, ‘han-’, ‘dae(大)-’, ‘gom-’[熊], ‘mal-’[馬], ‘wang(王)-’, ‘duk(德)-’, ‘in(仁)-’, ‘oui(義)-’, and ‘hong(洪)-.’ Of these, ‘keun-’, ‘han-’, ‘gom-’, and ‘mal-’ are native Korean roots and the rest are sino-Korean. ‘Han-’ as a prefix in native Korean is marked as different from sino-Korean words, ‘ but it has a meaning of 'large' as a mark for which only the sound is borrowed. The allomorphs of ‘han-’ were ‘hang- and hwang-.’ ‘Gom-’ and ‘mal-’ were thought to have originated from the ancient words ‘gom(<goma)’ and ‘mɐl(<mɐrɐ).’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place names related to animal names ‘gom[熊]-’ and ‘mal[馬]-’ had no meaning of 'large.' When ‘wang(王)-’ is used as a noun which has the meaning ‘large’ and 'head or captain' and it was understood as a different kind of place name.
    There was discussion that ‘duk(德)-’ corresponded to 'san(山)' in ancient place names, but this study interpreted it to have the meaning of 'large and high' when it appeared at the front and at the end of a word and suggested that the correspondence of ‘duk(德) to sip(十)’ should be reconsidered as a synchronic term. It was discussed that ‘in(仁)-’, and ‘oui(義)-’ were used as a prefix having the meaning ‘large,’ and for the correspondence of ‘義’ in ‘義谷:ouisil:neurakgol,’ 'neul' has a meaning of large and broad. ‘Hong(洪)-’ is used as a prefix with the meaning of large, but it is often used for the meaning of 'broad(廣)' although there is no native Korean word which corresponds to this sino-Korean wo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