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OTT 다큐멘터리에서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영상 미학 연구_<나는 신이다> 와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를 중심으로 (A Study on Video Aesthetics that Strengthens Storytelling in OTT Documentaries_Focusing on and )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8
13P 미리보기
OTT 다큐멘터리에서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영상 미학 연구_&lt;나는 신이다&gt; 와 &lt;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18권 / 6호 / 37 ~ 49페이지
    · 저자명 : 박민서

    초록

    다큐멘터리에서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나는 신이다》와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에서 다양한 영상 미학을 활용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서사구조를 통한 재현 양식, 영상 촬영과 편집 방식, 사운드 이론과 기법을 활용하였다. 첫째로 서사구조를 통한 재현 양식을 살펴보았을 때, 《나는 신이다》는 해당 사건에 관해 인터뷰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서사 구조를 구성했고 전문가가 해당 내용에 관해 해설하거나 설명이 필요한 부분을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이 작품이 가진 특징은 등장인물이 인터뷰에서 말하는 상황을 현장 화면과 재연 화면을 통해 더욱 시각적으로 유추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 드러난다.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는 《나는 신이다》와 비슷한 방식으로 사건에 관련된 사람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구성하였고 그 증언에 관해 전문가가 부가적으로 상황을 해설하고 설명하여 사건을 이야기하는 방식이 두드러졌다. 둘째로 두 다큐멘터리에서 영상 기법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강화한 방식을 살펴보았다.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는 스토리텔링에 자료화면을 50%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 순으로 인터뷰를 38.1%로 구성하였으며 촬영 화면을 8.3%로 구성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나는 신이다》는 인터뷰를 40.8%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다음 순으로 자료화면을 33.2%로 구성하였으며, 촬영 화면을 24.8%로 구성하였다. 두 작품을 비교하였을 때 사건과 관련한 사람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다큐멘터리가 진행된다는 특성으로 모두 인터뷰와 자료화면을 많이 사용하였다는 걸 발견할 수 있다. 두 작품이 가진 차이점은 촬영 화면을 활용한 방식에서 드러났다.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가 촬영 화면을 활용한 방식은 주로 장면과 장면을 이어주는 중간 다리 역할이나 현재 FLDS 사건과 관련한 사람들이 일상을 살아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해당 장면에서 분위기를 만드는 암시적 형태이다. 반면, 《나는 신이다》가 촬영 화면을 활용한 방식은 증언을 재연하는 방식으로 촬영한 영상이나 취재 과정에서 일어난 에피소드를 르포처럼 담아내는 형태이다. 그러므로 《나는 신이다》는 증언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해당 사건이 가진 내러티브를 보여주고자 했으며,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는 당시 상황을 재현하는 것보다 그들의 증언을 그대로 담아내려고 했다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셋째로 사운드 기법을 살펴보았을 때, 나는 신이다》와 《착한 신도 기도하고 복종하라》는 인터뷰 사운드 기법으로 인터뷰어 목소리를 주로 없애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나는 신이다》에서는 인터뷰이가 감정이 극대화됐을 때 인터뷰어가 목소리를 드러내기도 했다. 이는 보편적으로 활용하는 기법과 다른 활용인데 이는 제작진이 증언 내용을 객관화하는 목표보다 인터뷰이가 가진 감정을 보여주고자 하는 목표가 뚜렷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다양한 영상 미학이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을 강화하도록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 분석을 기반으로 다큐멘터리 스토리텔링에 적극적으로 영상 미학을 활용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다큐멘터리에 담긴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Until now, most of the methods of analyzing visual aesthetics revealed in the documentary genre have been discussed with a point of connection with technical aesthetic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The technical aesthetics theory based on various documentary studies was largely developed based on representation style, sound theory and techniques, and video theory and techniques. Although the research on visual aesthetics targeting documentaries has been discussed in a variety of meaningful ways, there were not many movements to face the kind of storytelling that documentaries create. Of course, some studies have analyzed and criticized the dramatic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documentaries, or analyzed the premise itself that reality and aesthetics, which ar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ies, contradict. As such, it is meaningful in that several studies have made discussions so that they can agree on the premise that storytelling occurs in documentaries, but I thought it would be necessary to go further from the premise of judging whether storytelling is revealed in documentaries. This study actively seeks to point out where the video aesthetics revealed in documentaries create strengths in storytelling. The work will develop opinion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targeting documentaries that reveal similar materials and themes. The works selected for analysis in the study are the Netflix crime documentary series "I am a god" and "Pray and obey a good believer". Sinc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ctively discuss ways to strengthen storytelling in documentaries through various video aesthetics, I thought that analyzing documentaries produced with similar materials could further uncover the methodology. Although there are various theories of video aesthetics, three major method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work. The theory utilized representational modes, image theories and techniques, and sound theories and techniques. No matter what documentary you produce, narrative will inevitably occur, so we expect that if you apply a method that effectively strengthens storytelling and reveals video aesthetics through this study, you will be able to produce a documentary with even stronger strengt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HAPPYCAMPUS
  • (주) 에이전트소프트
    • 대표이사 : 김정태
    •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 한종욱
    • 주소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12 우림 e-biz센터 2차 211호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8925 ((주) 에이전트소프트 해피캠퍼스 사업부)
    • 통신판매업 신고 : 2004-01560 사업자 정보 확인
    • 호스팅 서비스사업자 : (주) 에이전트소프트 해피캠퍼스사업부
  • 고객센터
  • (주) 에이전트소프트는 판매중개자 이며 판매의 거래당사자가 아닙니다. 입점판매자가 등록한 상품정보 및 거래에 대해 (주) 에이전트소프트는 일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해피캠퍼스 사이트의 상품/판매회원/중개 서비스/거래 정보, 콘텐츠, UI 등에 대한 무단복제, 전송, 배포, 스크래핑 등의 행위는 저작권법, 콘텐츠산업 진흥법 등 관련법령에 의하여 엄격히 금지됩니다.
  • Copyright © AGENTSOFT Co., LTD. All rights reserved.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