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narrative Structures and Literary Characteristic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03
31P 미리보기
다문화 서사구조와 문학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1호 / 137 ~ 167페이지
    · 저자명 : 이미림

    초록

    이주와 다문화현상이 뚜렷한 우리 사회에 외국인노동자, 결혼이주여성, 다문화가정 2세, 한민족 이주자, 북한이탈주민 등 이주자의 삶이 문학 속에서 재현되고 있다. 그동안 다문화소설연구는 재현양상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에 치우친바 본고는 서사구조, 갈등양상, 이주자 묘사 및 상징기법, 공간적 특징 등 형식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다문화서사구조는1990년대 여행서사와 2000년대 이주서사가 결합된 ‘디스토피아적 여행서사’ 구조를 지닌다. 동화와 소외, 억압과 폭력이 중심주제인 다문화서사는 탈북디아스포라와 이주여성이 등장하는 인신매매·이주매춘서사, 결혼이주여성이 출현하는 여성수난(잔혹)서사, 이주노동자가 나타나는 에스닉노동·제노포비아서사 그리고 다문화가정 2세의 성숙을 그린 다문화성장서사 등 다채로운 서사구조를 지님으로써 소설지형을 넓히고 있다. 둘째, 갈등양상에있어서는, 자국민과 이주자의 시선이 교착되고 있다. 자국민은 이주자에대해 차별적·배제적·폭력적인 태도를 지녔고, 풍문으로 전달된 사실로 판단하고 왜곡하며 자의적·주관적인 시각으로 바라본다. 이주자 역시 자국민의 배타적 민족의식, 이중적 잣대, 계급주의적 태도에 대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이러한 갈등은 사회적 불화를 야기하며 타국의 관습, 언어, 음식, 의상 등을 조롱하고 멸시함으로써 문화혼종성을 수용하지 않거나 문화평등주의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셋째, 이주자 정체성은 타자이자 주변부, 소수자로 표상된다. 이주자는 떠돎과 부유(浮遊), 섞임과 혼종성, 연약하고 위험함, 에스닉, 공동체 바깥을 의미하는 동물, 외래종 식물로 은유된다. 나비, 새, 물고기, 찔레꽃, 민달팽이, 개, 해파리, 사과배, 핑궈리, 파프리카, 크로아티아장미 등으로 표상되거나 인형, 유령, 시체, 벌레같은 비인간적·비역사적·비현실적 존재로 그려진다. 넷째, 이주자의 주거지와 일터는 비다문화공간과 경계 지어지는 ‘그들’만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거주는 하층계급이자 집값이 낮다는 사실을 의미하며 혐오감, 위험과 낙후성, 공포, 범죄발생가능지역으로 표상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재현공간으로는 이주민센터, 한글학교, 다문화센터 등이, 이주노동자의 공간으로는 노동환경인 가구공단지역과 여인숙, 쪽방, 컨테이너박스, 옥탑방, 재개발지역이, 탈북디아스포라서사에서는 국경, 수용소, 난민보호소, 하나원이배경이 된다. 탈국경상황이 전개됨으로써 해외로 문학공간이 확장되며 다문화센터, 하나원, 접경지대 같은 새로운 장소들이 등장한다. 다문화소설은 이분법적이고 도식적인 인물유형에서 벗어나 이주자의 내면심리와 디테일한 이주생활을 통해 불편하고 불안한 삶이 구체적으로 그려져야 하며 이방인의 목소리를 위해 이주자 출신 작가가 배출되어야 한다. 또한 21세기우리 소설의 한 장르로 자리 잡을 것이기에 다양한 소재를 바탕으로 깊이있는 주제의식과 문학적 수사가 요구된다.

    영어초록

    As South Korean society has been moving toward an aging multicultural society, the lives of migrants including foreign workers, migrant marriage women,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migrants of Korean people, and North Korean defectors are reproduced in literature. Previous studies on multicultural literature were inclined toward the patterns of reproduction and responsive strategies for them. This study thus set out to take a formal aesthetic approach including narrative structures, patterns of conflict, techniques to depict and symbolize migrants, and spatial features.
    First, the multicultural narrative structure presents a “dystopian travel narrative,” which combines the travel narrative of the 1990s and the migration narrative of the 2000s. Based on assimilation, alienation, suppression, and violence, multicultural narratives are expanding the topography of novel genre with their diverse narrative structures including the narrative of human trafficking and migrant prostitution, which presents the diaspora of escape from North Korea and migrant women, the narrative of women's (brutal) suffering, which present migrant marriage women, the narrative of ethnic labor, which presents migrant workers, and the narrative of multicultural growth, which shows the maturing process of second generation of multiculturalfamilies.
    Second, as for the conflict structures and patterns, the viewpoints of native people are crossing those of migrants. The native people consider migrants as discriminating, exclusive, and violent people and apply an arbitrary and subjective point of view to them based on the rumor and hearsay. Migrants are negative and critical about the exclusive national consciousness, dual standards, and classist attitudes of native people. Those views of theirs are expressed as social disharmony and disintegration. Looking down on the lifestyle, language, issues and clothes of a foreign country, they fail to embrace cultural hybridity.
    Third, the identity of migrants is represented by others, margin, and minority. They are metaphorically expressed as wandering and floating, mixture and hybridity, vulnerable and dangerous, animals to represent the outside of community, introduced species, and unrealistic beings. They are represented by the butterfly, bird, fish, wild rose, slug, dog, jellyfish, pingguoli, paprika and Croatian rose or depicted as inhuman, unhistoric, and unrealistic beings such as dolls, ghosts, bodies, and insects.
    Finally, the dwelling and workplace of migrants are described as “their own space” with a border with non-multicultural spaces. Their dwelling indicates a lower class and low housing prices, being represented by the feeling of aversion, danger, backwardness, and possible crimes. Migrant marriage women appear in such spaces as Migrants' Center, Hangul School, and multicultural centers. The spaces of migrant workers include furniture industrial complexes where they work, inns, dosshouses, container boxes, rooftop houses, and redevelopment areas. The backgrounds of diaspora of escape from North Korea are the borders, camps, refugee shelters, and Hanawon.As a border-crossing situation develops, the literary space expands overseas with new spaces being created.
    Multicultural narratives will continue to appear and require the detailed development of uncomfortable and unstable lives of migrants as well as their inside psychology in more depth, which calls for migrant-turned writers. It is also required to realize two-way social integration instead of on-way integration by embracing migrants as members of society and recognizing cultural hybridity. In addition, a true multicultural society will be possible by sympathizing with their wounds and symptoms and identifying with them through otherization rather than regarding them as the objects of pity, compassion, and misery that were expressed a lot in the early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