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채널방송(Multi Mode Service)에 대한 인식과 시청의도에 관한 연구 - EBS 다채널방송 EBS 2TV 중심으로 - (Study on the Recognition on Multi Mode Service and Viewing Intention - Mainly about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10
11P 미리보기
다채널방송(Multi Mode Service)에 대한 인식과 시청의도에 관한 연구 - EBS 다채널방송 EBS 2TV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53권 / 395 ~ 405페이지
    · 저자명 : 전병종, 김종무

    초록

    지상파 다채널방송 무료 서비스는 채널 공급 확대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선택 폭을 넓혀주고 디지털 정보격차(Digital Divide) 해소에도 기여하는등 시청자 복지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지상파 다채널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방송 사업자나 정책결정 기관의 정책집행이 중심이 아니라 시청자가 중심이 되어 시청자 측면에서의 채널과 콘텐츠의선택 폭을 확장시켜 주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EBS 다채널방송 EBS 2TV 방송 콘텐츠(Contents) 편성에 앞서 EBS 다채널방송 EBS 2TV를 시청하는 시청자의 인식과 시청의도를 설문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4월 1일부터 4월 14일까지 2주간 총 150부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오류가 없는 139 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의 약 30%가 다채널방송EBS 2TV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 50%정도는 다채널방송 EBS 2TV에 대해 인지하지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20.9% 가 EBS 다채널방송 EBS 2TV 채널에 대해 EBS 2TV 시범방송 시청을 통해 인지하였으며, 인터넷/블로그를통한 인지가 15.8%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셋째, EBS 다채널방송 EBS 2TV의 주 타깃 연령대는 주로 10~30 대의 젊은 연령층을 타깃으로 해야 한다고 인식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응답자의 66.9%가 EBS 다채널방송 EBS 2TV에서 주로 편성했으면 하는 프로그램장르를 다큐멘터리/여행 장르라고 하였고, EBS 2TV에대한 시청의향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선호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응답자는 프로그램내용을 TV 채널을 선택할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으며, EBS 2TV에 대한 시청의향이 높은 사람이 시청의향이 낮은 사람보다 프로그램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EBS 다채널방송EBS 2TV에 대한 시청의도가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전반적으로 EBS 2TV의 주요 타깃 연령대에 대해10~20세 연령대를 주요 타깃으로 해야 한다는 것으로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추후 EBS 다채널방송 EBS 2TV의 본 방송 시 시청자 연령대, 시청자들이원하는 프로그램 편성 및 콘텐츠 제작에 본 연구 결과가 사용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Multi Mode Service is also meaningful in the aspect of viewers' welfare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removal of Digital Divide by extending channel supply and broadening user's choice width. In this context, Multi Mode Service of ground wave should expand user's choice width of channel and contents not based on policy enforcement of ground wave broadcaster or policy-making institution, but based on viewer. Thus, this dissertation, by using questionnaire, intends to analyze the recognition and viewing intention of viewers who view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before organizing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broadcast contents. To this end, some 150 question papers were distributed for 2 weeks from April 1, 2015 to April 14, 2015 and those without error were used for analysis.
    According to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me 30% of respondents recognized Multi Mode Service EBS 2TV and some 50% did not. Second, 20.9% of respondents recognized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by viewing demonstrative broadcast of EBS 2TV and 15.8% of them recognized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through Internet/blog. Third, it was found that people thought the main target of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should be youngsters in their 10s'~30s'. Fourth, it was found that 66.9% of respondents answered their mainly wanted program genre of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was documentary/travel and no difference in pre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group strongly intending to view EBS 2TV & those less intending. Fifth, respondent chose program content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choosing TV channel and the group strongly intending to view EBS 2TV were found to think program contents important more than those less intending. Finally, whether viewers strongly intend to view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or not, they were found to generally think that the main target of EBS 2TV should be youngsters in their 10s'~20s'. Based on such result, I wish that this study be used to organize program and produce contents wanted by viewers in main target age when broadcasting EBS Multi Mode Service EBS 2TV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