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선방안 (Measures to Improv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8
28P 미리보기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입법학연구 / 21권 / 2호 / 225 ~ 252페이지
    · 저자명 : 윤향희, 김경제

    초록

    다문화가족지원법이 제정된 이후 수많은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시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가족의 이혼율은 줄어들지 않고 있고 다문화가족 아동과 청소년들의 한국어 능력은 부족하며 학교생활의 어려움은 여전하다. 이런 결과는 그동안 수행되어 온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옳게 계획되지 못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잘못 실행되었기 때문이다.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의 과제명이 명확하지 않고 애매하여 중과제, 실행과제를 통하여 그 내용이 충분히 구현될 수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과 시행계획의 과제명은명확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인구감소문제가 심각한 현 시점에서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대상인 다문화가족의 범위를 확장하여야 한다. 고려인동포의 경우 한국어능력 없이 가족단위로 입국하여 한국에서 생활함으로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격고있다. 또 이들은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건국 과정에 공적이 인정된다. 그리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적용대상에 고려인동포 가족을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 제1호에 “다. 고려인동포 합법적 체류자격 취득및 정착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2조의 고려인동포로 구성된 가족”이라는 문구를 추가하는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정을 제안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 사업이 다문화가족센터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센터 구성원은 다문화사회 전문가로 구성되어야 한다. 현재 다문화가족센터의 구성원은 다문화사회 전문가 자격을 보유한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다문화가족정책이 선택되었어도 그 정책대로 실행될 수 없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구성원을 규율하고 있는 다문화가족법 시행규칙 제3조 본문을 “법 제12조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라 한다)에는 같은 조 제5항에 따른 다문화사회 전문가 2명 이상과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문인력 1명 이상을 두어야 한다.”로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민간단체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민간단체를 규율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법 제16조에 제3항을 신설하여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을 수행하는 단체나 개인이 전문성을 갖추도록 필요한 제도와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추가하는 법률개정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Despite the fact that numerou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the divorce rate of multicultural families has not decreased,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children and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sufficient, and difficulties in school life remain. This resul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that has been carried out so far has not been planned properly and was implemented incorrectly by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ecause the task titl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asic plan was unclear and ambiguous, its contents could not be fully implemented in the next stage. To prevent this, the project nam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olicy basic plan and implementation plan must be clearly structured. At a time when the problem of population decline is serious, the scope of multicultural families subject to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must be expanded. In the case of Korean ethnic Koreans, they enter Korea as a family and live in Korea without any Korean language skills, so they face many difficulties. Historically, they are recognized for their contributions in the founding proces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fore, we propose to include Korean ethnic Korean families i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To this end, I propose a law amendment to add “Da.” to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s such “Families composed of Korean ethnic Koreans as defined in Article 2 of the Special Act on Acquisition of Legal Residence Status and Settlement Support for Korean-Korean People.” In addition, so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at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must be composed of exper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urrently,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Center do not have qualifications as experts in multicultural society, so even if a good multicultural family policy is selected, it cannot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at policy. To this end, the text of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Act, which regulates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st be revised as follow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must have at least two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and at least one expert who falls under any of the following items.” Lastly, in order to increase the expertise of private organizations, paragraph 3 should be added to Article 16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s follows,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must devise necessary systems and policies to ensure that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carrying ou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s have experti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입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