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다차원적 국가이미지 척도의 타당도 (Validity of Multidimensional Scale for Measuring Country Imag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1.08
20P 미리보기
다차원적 국가이미지 척도의 타당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영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영교육연구 / 26권 / 4호 / 511 ~ 530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박상준

    초록

    국가이미지는 해당 국가 상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영향을 주고 최종적으로 소비자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국가이미지의 정의와 측정의 문제로 인하여 기업 또는 국가의 경쟁도구로서 많은 활용이 되고 있지 않다. 특히, 연구자마다 다른 척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 간의 비교가 어렵고 연구 간의 시너지를 기대하기 매우 어렵다. 다양한 국가를 평가대상으로 도출된 국가이미지 차원이라고 할지라도 단일국가의 국가이미지 평가 자료에 적용하면 해당 국가 특성이 국가이미지에 영향에 미치기 때문에 개발된 국가이미지 척도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복수의 국가를 대상으로 국가이미지 척도를 개발하여 복수의 국가에 적용하였을 때, 개별 국가 특성이 상쇄되어 척도의 타당성이 제고됨을 보여주고 있다. 시뮬레이션 분석을 위해 선행연구와 252명의 한국 소비자들이 평가한 4개국의 국가이미지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평가대상 국가의 통합수준을 달리 하여, 도출된 척도의 일반화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단일 국가에 적용한 경우에는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낮게 나타났지만 2개국 이상의 통합자료에 적용한 경우에는 집중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높게 나타났다.

    영어초록

    A favorable country-of-origin image has a considerable impact on consumers' evaluation of products originating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therefore influences their subsequent buying decisions. Numerous articles published in the business press underline the importance of this effect. This body of research shows that a product's national origin acts as a signal of product quality and also affects perceived risk and value as well as likelihood of purchase. Conventional country-of-origin studies allow researchers to analyze if consumers prefer products or brands from one country in comparison to another.
    However, deficiencies in the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its facets have contributed to ineffective and infrequent use of country-of-origin image as a competitive tool. Despite the acknowledged importance of the construct, literature has reached no consensus on how to conceptualize and operationalize country-of-origin. Indeed, no systematic analysis of extant conceptualizations and associated measurement scales of the country-of-origin construct exists, leaving researchers with little guidance on how to best operationalize the construct in empirical efforts.
    The present study addresses this gap by undertaking a state-of-the-art review of current conceptualizations and operationalizations of the country-of-origin construct, proposes an approach to derive a robust multi-dimensional scale of the construct, and highlights important areas for future research. For the research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aggregation of survey data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of country image. Based on a review of marketing and non-marketing literature and the factor analyses (EFA and CFA), for the purpose, this paper derives the three (economic, relational, and cultural image) and applies them to the four countries (U.S.A, Japan, Australia, and China).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re tested based on the data sets of which aggregation level is various: each of the four country data sets, possible pairs of the four country data set, possible trios of the four countries, and the aggregated data set of four countr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rived scale of country image has low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hen it is applied to each of the four data sets whereas it has high ones when it is applied to the aggregated data of more than two countries. The proposed approach, which derive a robust scale of the country-origin construct with aggregation of survey data, has a few limitations. However,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achieving further progress in the field and the framework will assist researchers in overcoming the problem of previous sca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영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