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민요학, 다시 길을 묻다 (Korean Folk Songs, Asking the Way Aga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3.04
25P 미리보기
한국민요학, 다시 길을 묻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요학 / 67권 / 9 ~ 33페이지
    · 저자명 : 권오경

    초록

    이 글에서는 연구 시각의 전환을 모색한 후 다양하게 존재하는 민요 현장을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과 시대적 과제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민요 개념과 연구 범주의 확장에 대한 검토, 민요 현장에 주목하였다.
    그간 민요학연구에 있어서 제대로 된 민요연구방법에 대한 치열한 논의를 펼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탈기능주의가 어쩌면 새로운 민요 연구의 출발점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의 전환, 활발한 비교연구, 과거 중세와 근대사회의 생산물인 민요가 시대적 변화와 함께 사라지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는 진화론적 경쟁 법칙에 의한 화살로서의 시간 법칙보다는 순환으로서의 시간 법칙을 따라 문화로서의 민요를 주목하는 시각의 전환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민요 현장을 통해 민속과 문화로 나아가는 연구 방법 등, 이제부터의 민요학은 문화학과 민속학의 통합적 시각으로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래서 이제는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매체민요학, 사회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소통으로서의 통섭민요학, 타지역 민요와 비교하는 비교민요학, 콘텐츠 제작을 위한 디지털민요학이어야 한다고 했다.
    민요연구는 현장 조사 이외에 민요 콘텐츠 제작과 유통, 즉 생산과 소비, 그 중간매체까지도 파악해야 한다. 그러면 구연자의 확장, 민요 콘텐츠의 확장, 장소와 시간의 확장, 소비층의 확장을 도모할 수 있다. 시간으로는 전통에서 현대로, 공간으로는 전통사회 전승 장소에서 현대공연장, 그리고 한국에서 국제사회로, 매체는 가창 구연물에서 제작, 공연된 콘텐츠까지 확장된다.
    민요 현장의 확장적 시각은 자연 현장과 보존현장, 공연현장, 대중가요현장, 콘텐츠현장, 사이버현장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고 보고 각각의 확장된 민요 현장을 분석하였다. 즉, 민요의 연행 현장, 혹은 전승 현장과 민요 원형을 유지, 보존, 계승하는 민요보존현장, 민요의 원형이나 전형보다는 변형의 문제를 주로 다루는 공연현장, 그리고 대중가요현장, 원형, 전형, 변형보다는 활용의 문제가 논점이 되는 민요콘텐츠현장, 사이버민요현장 등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가상현실에서의 민요 현장은 지금보다 훨씬 더 이전의 민요 현장과 훨씬 더 풍부하고 현실감 있게 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대응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민요 현장의 확장적 인식은 민요 현장을 과거에서 미래로, 현실에서 가상으로, 가창 문화에서 콘텐츠 문화로, 공동체에서 사회 등으로 분화, 확장시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after searching for a shift in research perspective, variously existing sites were analyzed, and new research methods and challenges of the times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olk song and the examination of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category were particularly focused on the field.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in which intense discussions have been held on the proper method of folk song research in the study of folk songs.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paying attention to folk songs as a culture following the law of time as a cycle rather than the law of time as an arrow by the law of evolutionary competition. In addition, it was thought that folk song studies from now on, such as research methods that advance to folklore and culture through folk song sites, should start anew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e and folklore. Therefore, it should be media folk songs using new technologies, consilience folk songs as communi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culture, comparative folk songs that compare with folk songs from other regions, and digital folk songs for content production.
    The expanded view of the folk song scene(field) was considered to provide a basis for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e natural scene, conservation scene, performance scene, popular song scene, content scene, and pseudo scene, and each expanded folk song scene was analyzed. In other words, the field of performance or transmission of folk songs, the field of preservation of folk songs that maintains, preserves, and inherits the original form of folk songs, the field of performance that mainly deals with the problem of transformation rather than the original form or model of folk songs, and the field of popular songs, rather than original form, type, and transformation It was mentioned that there are folk song content sites and cyber folk song sites where the problem of utilization is an issue. It was expected that the folk song scene in virtual reality could be reproduced far richer and more realistically than the folk song scene much earlier than now, and demanded a response to this.
    This expansive recognition of the folk song scene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and approach the folk song scene from the past to the future, from reality to virtual, from singing culture to content culture, and from community to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요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