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dol Avatars in Metaverse Entertainment Platfor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24.03
10P 미리보기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dol Avatars in Metaverse Entertainment Platform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9권 / 2호 / 53 ~ 62페이지
    · 저자명 : 정혜균, 한정엽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advent of the metaverse and the pervasive influence of the COVID-19 pandemic are both contributing to the growing significance of life in the digital realm. The entertainment industry is actively expanding attempts to use idol avatars on online entertainment platforms as a coping mechanism. However, studies on this topic are primarily biased toward specific aspects such as avatar design and user experience, whereas studies on overall avatar types and use are lacking.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strategies for using idol avatars based on different types of metaverse platforms, by outlining the current landscape and characteristics of idol avatar usage across various metaverse entertainment platforms. (Method) We categorized avatars into four distinct types: character-type, intelligent character-type, humanoid-type, and intelligent humanoid-type. Thereafter, we analyzed representative cases of idol avatar deployment across four metaverse types—Zepeto for lifelogging, girl group Aespa for mirror world, K/DA’s League of Legends concert for augmented reality, and Travis Scott’s Fortnite concert for virtual world. Using this analysis, we outlined prevailing trends in avatar usage across different metaverse platforms. (Results) All types of avatars have proven to be useful across various metaverse entertainment platforms, and the use of more sophisticated avatars has been steadily growing owing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lifelogging platform Zepeto uses character-type avatars, which can be rendered in either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cartoon styles. These avatars are incapable of interacting with other users, however, they enable rapid creation and circulation across platforms. The mirror world avatars of the girl group Aespa are intelligent character types, resembling cartoons, however, they employ artificial intelligence to enable sophisticated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fans. At K/DA's augmented reality concert, the avatars take on a humanoid appearance and feature intricate representations of game characters. However, they do not interact with users, and all of the content for the performances must be prepared in advance. Finally, Travis Scott's concert avatars in the virtual world are intelligent humanoid types with sophisticated appearances. They enable real-tim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thus allowing for the unfolding of fantastic concert content that would be impossible to achieve in the real world. (Conclusion) The growing incorporation of idol avatars in the metaverse entertainment sector showcases a dynamic environment where various avatar types are used across different platform modes. Idol avatars have many advantages compared with real idols;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of platform, each type of idol avatar has both positives and negatives associated with it.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benefits and drawbacks associated with the various types of avatars and metaverse entertai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