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의 喪葬과 灰隔 (Burial Structure of Joseon Dynasty and the Hoegy다)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09.12
25P 미리보기
朝鮮의 喪葬과 灰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문화유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중앙고고연구 / 5호 / 25 ~ 49페이지
    · 저자명 : 조길환

    초록

    조선은 성리학을 사회통치이념으로 채택하고, 經國大典 반포와 國朝五禮儀를 제정하여 신분질서를 제시하였다. 사대부는 仁祖 26(1648)年에 간행된 喪禮備要와 이후에 편찬된 四禮便覽을 따랐다. 이에 따라 탄과 삼물(石灰․細沙․黃土 拌均者)을 이용하여 관을 넣을 수 있게장(墻)을 만들어 광과 관을 구별짓는 회격(灰隔)이라는 새로운 무덤양식이 지배층의 묘제로채택된다. 상례비요와 사례편람에서 ①곽을 사용한 방식, ②층층으로 다진 방식, ③내부에 흙을 넣어 회격을 조성하는 방식 등이 확인된다.
    회격은 조선시대 무덤의 매장주체부를 형성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세조 이전까지 지배층에서 채택한 석실(곽)을 대체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는데, 왕과 대부사서인에게 모두 적용된다. 이러한 인식의 토대에는 회격이 온전히 돌이 되어 시신을 풀뿌리와 벌레 등으로부터 지킬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사후(死後)의 효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지배층에 권장된사항으로 판단된다. 회격은 유풍(遺風)과 발굴조사를 통하여 1980년대까지 사용되었음을 알수 있는데, 고래로 내려오는 실․곽․충전 등이 복합된 개념으로 수용된 것이다.
    본 연구는 추후 발굴조사를 통하여 얻어지는 많은 조선시대 토광묘의 회격을 이해하는 한단초가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으며, 조선의 성리학적 상례에 대한전반적 이해의 첫걸음이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Joseon adopting Neo-Confucianism as a ruling ideology suggested order ofsocial caste through promulgation of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Grand Code of Managing the Nation) and enactment of Gukjo Oryeeui(『國朝五禮儀』, The National Five Rites). Literati followed Sangryebiyo(『喪禮備要』, Guidebook for Funeral Rites) compiled in the reign of 26th year ofKing Injo(1648) and Saryepyeonram(『四禮便覽』, Handbook for four theceremonial occasions of coming-of-age, marriage, funeral, and ancestorworship) compiled later. A new burial structure called Hoegyek(灰隔) whichseparated a burial hole and a coffin with making a wall. According toSangryebiyo and Saryepyeonram, there were three types of burial as follows:1) the first type using an outer-coffin, 2) the second type tramping earthlayer upon layer, and 3) the third type forming a Hoegryek with filling aspace between a coffin and a burial hole with earth.
    The Hoegyek, a style to prepare a burial platform were considered to be afacility to substitute a stone chamber(or an outer-coffin) before the reign ofthe King Sejo, and it was applied to kings, officials, and commoners. TheHoegyek, considered a facility to protect the dead fromgrass roots andinsects seems to have been recommended as a device to practice filialpietyafter ancestor’s death. Based on excavation reports and a custom handeddown, the Hoegyek, had been adopted until the 1980s, and it could beunderstood as a facility adopted as combined concept of a burial chamber, anouter-coffin, and a filling up.
    This study will be a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Hoegyekof pit burialsbuilt in the Joseon period which will be reported in future excavations, and it will be also a first step to understand Joseon’s funeral rites based onNeo-Confucianism in a general s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