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계종교들의 고통관의 유형들: 성취하는 하나님 나라 (The Types of Religious Perspectives on Suffering : The Accomplishment in the Kingdom of Go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8.07
35P 미리보기
세계종교들의 고통관의 유형들: 성취하는 하나님 나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신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ACTS 신학저널 / 36권 / 273 ~ 307페이지
    · 저자명 : 안점식

    초록

    이 논문은 세계종교들에 나타나는 고통관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기독교 세계관의 특징을 부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세계종교들은 고통의 문제에 대해서 다루는데, 먼저 고통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입각한 해결책을 제시하려고 한다. 불교와 힌두교 등은 고통의 문제를 인식의 문제로 환원시키는데, 우주의 실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는 것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종교들은 고통의 문제를 실존적, 인식적 차원에서 주로 다룸으로써 사회적 문제에 대해서 소극적인 면이 있다. 이와 반대로 고통의 문제를 통치의 문제로 환원시켜서 올바른 통치구조나 통치자의 자질을 논하는 인본주의 세계관들이 있다. 여기에 해당되는 것은 유교, 노장사상, 맑시즘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세계관들은 이상적 통치 하에서 고통의 문제가 해결된다고 생각하는 현세적 이상주의이지만, 개인적인 불행이나 자아의 문제를 깊이 다루지 못한다.
    정령숭배에서는 행복과 불행, 그리고 고통의 문제가 초자연적인 영들이나 힘의 소행이라고 보기 때문에 이러한 영이나 힘을 조종하고 통제하는 주술이 발전한다. 그러나 정령숭배는 자아의 문제도, 사회적 차원에서 고통의 문제를 다루지도 못한다. 이슬람과 같은 유신론 종교는 신이 죄에 대해 심판하거나 믿음을 시험하기 때문에 고통이 생겨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유신론의 고통관에서는 여러 가지 신정론적인 주제들이 제기된다. 기독교의 고통관은 포괄적이고 통섭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세계종교들이 이해하는 고통의 원인과 해결책이 편향된 것으로 본다. 기독교 세계관은 하나님 나라에서 고통의 원인들이 어떻게 제거되고 인간의 염원이 어떻게 포괄적으로 성취되는지를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highlights the uniqueness of the Christian worldview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views on suffering in world religions. World religions deal with the problem of suffering. They try to identify the cause of suffering and suggest solutions. Hinduism and Buddhism reduce the problem of suffering to a question of perception, insisting that having a correct perception of the reality of the universe is a way to be liberated from suffering. These religions deal with the problem of suffering in terms of the existential, cognitive dimension, and are lack of dealing with social dimension. On the contrary, there are humanistic worldviews such as Confucianism, philosophical Taoism and Marxism which reduce the problem of suffering to a problem of reigning society. They discuss the proper structure of reign and the qualities of the ruler. These worldviews are this-worldly idealism that thinks that the problem of suffering is resolved under ideal rule, but it does not deal with the problem of self or personal misfortune.
    In animism, suffering is thought to be caused by supernatural spirits or forces, and therefore, develops sorcery to control or manipulate them. However, animism does not deal with the problem of self or reig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uffering. Islam, as a theistic religion, insists that suffering occurs because God punishes sin and to test faith. However, in the theistic religions, various theodicean issues are raised. The Christian view of suffering is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in nature by which the biased views of world religions can be corrected by it. The Christian worldview shows how the causes of suffering are eventually removed and the human desires are comprehensively accomplished in the Kingdom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CTS 신학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