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츠빙글리의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에 관하여 (Zwinglis Perspective on “Justice of God and Huma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츠빙글리의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에 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9권 / 4호 / 115 ~ 142페이지
    · 저자명 : 최영재

    초록

    취리히 종교개혁이 시작되는 시기인 1523년에 츠빙글리(Zwingli)는 “하나 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를 썼다. 그는 이것을 통하여 자신의 급진적 추종자들과 농부들이 신약성서에 근거하여 기존 사회경제질서의 전면적인 폐지를 주장하는 것과 보수적인 가톨릭교회측이 그가 취리히 시민법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주장에 반박했다. 츠빙글리는 ‘하나님의 정의’를 그의 신론으로부터 도출하였으며, 그것의 핵심적인 특징은 산상설교와 이웃사랑으로 대변되는 사랑의 계명이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주어지는 것이면서 동시에 그리스도인들이 지속적 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할 계명의 성격을 지닌다. 반면에 ‘인간의 정의’는 타락한 인간 본성으로 인하여 공동체의 삶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님이 허락한 것이다. 가련하고 불완전한 정의로 일컬어지는 ‘인간의 정의’는 세속권력이 강제력으로 지키는 것이다. 이 세속권력 앞에 종교권력을 포함하여 모두 순종해야 한다. 하지만 이 정의는 세속권력이 전횡하여 휘두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성서의 빛에 비추어 행사되어야 한다. 따라서 성서가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를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원천이다. 모든 삶을 다스리는 하나님의 통치 아래 하나님의 정의는 내적 인간에, 인간의 정의는 외적 인간에 관계하며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설교자는 말씀선포를 통하여 하나님의 뜻을 밝히고, 거기에 근거하여 세속권력은 악한 행위를 처벌하고 사회질서를 유지한다. 이렇듯이 츠빙글리에게 교회와 국가는 서로 독립된 존재라기보다 서로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 존재이다. 이것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하는 것이 하나님의 말씀이다. 츠빙글 리의 두 정의론와 루터의 두 왕국론(zwei-Reiche-Lehre)은 서로 유사한 점이 많이 있기도 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츠빙글리는 두 정의 모두 지켜야하는 계명의 관점 으로 이해하고, 외적인 인간의 정의에서 내적인 하나님의 정의로 진전해 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e time when the Reformation took place in Zürich, Zwingli wrote “Justice of God” to assert abolition of former social economy order carried out by radical followers of Zwingli and farmers whose basis was under the New Testament, and to stand against the assertion of conservative Catholic church, stating that he is weakening the civil law of Zürich. Zwingli concluded “God’s Justice” core characteristics are Love and Command. This represents Sermon on the Mount and loving your neighbors. On the other hand, “Human justice” states that God has allowed in order to prevent destruction of congregational lives due to human’s sinful nature. God’s justice cannot be swayed by the secular power but must be carried out under the light of the Bible. Therefore, the Bible is the only found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Justice of God and human. Based on this, the preacher persecutes the wrong doings of secular authorities and maintains social order. Like so, the church and the country is not a separate being, but considered as having an intimate bondage in the eyes of Zwingli. The Word of God is what combines and unites these two factors. The two Justice theory of Zwingli and the two Kingdom theory of Luther are similar in some ways but also different. Zwingli understands both Justice as a command which must be kept and states that external human justice must move on to internal justice of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