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님의 침묵』에 나타난 ‘만남’의 구현 방식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Encounter” in Silence of the Lover)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03
24P 미리보기
『님의 침묵』에 나타난 ‘만남’의 구현 방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61권 / 447 ~ 470페이지
    · 저자명 : 신수진, 송승환

    초록

    식민치하에서 진정한 주체로 살아보지 못한 우리 민족의 뼈아픈 역사를 목도한 한용운은 주체성의 회복을 위하여 ‘님’이라는 대상을 상정하고 『님의 沈黙』의 시편들이 그에 귀속하도록 한 권의 시집을 기획했다. 서양의 근대 철학이 타자를 배제한 주체성을 추구해왔고 그것이 세계의 보편적 진리로 통용되었는데, 한용운은 그에 대한 대안적 개념으로 타자를 향해 열린 주체성, 곧 ‘님’을 향한 사랑을 제시한다. 그것은 단순히 주체의 확장이 아니라 ‘만남’의 확장을 추구하는 변증법이다. 본고는 『님의 沈黙』의 시를 분석하고 ‘님’의 의미에 대한 또 하나의 해석을 덧붙이는 것이 아니라, ‘님’을 통해 한용운이 말하고자 했던 ‘만남’의 구현 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용운에게 ‘님’은 언제나 이별 상태에 있는 타자이다. 『님의 沈黙』 전편에 님이 등장하지만 그 어떤 님도 내 곁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레비나스가 말한 ‘낯선 이’로서 과부․고아․나그네와 같은 핍진한 ‘얼굴’로 ‘나’에게 현현되는 타자와 흡사하다. 이 때 낯선 타자의 출현은 ‘나’의 주체성을 위협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나’에게 형이상학적 욕망을 불러일으켜 생산적 주체성을 확립한 존재로 거듭날 수 있게 해준다.
    이별과 상실 뒤에 남겨진 화자가 절망의 끝에서 발견한 것은 님의 뒷모습이며 그것은 또 다른 ‘나’의 모습이기도 하다. 역설적으로 주체가 무화(無化)된 시점에 이르러 비로소 진정한 존재의 진리를 발견한 것이다. 주체는 자기를 보존하는 것에 몰두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를 내어줌으로써 적극적인 자유를 실현하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한용운이 사유하는 주체는 타자를 향하여 열려있고 타자로 건너갈 수 있는 초월성을 지닌다. 이러한 ‘만남’의 방식을 통해 ‘떠난 님’은 ‘돌아온 님’으로 변모한다.
    한용운은 ‘침묵하는 님’의 시대를 넘어서려는 힘을 낯선 타자의 ‘얼굴’에서 발견하고 그 얼굴을 통해 주체와 타자와의 ‘만남’을 추구하였다. 그것은 여전히 오롯한 주체로서 타자를 만나지 못하는 ‘지금’, ‘여기’의 우리에게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다는 의미가 있다.

    영어초록

    Han Yong Un, witnessed the history of our people, who have never lived as true subjects of colonial rule. He took up the concept of the “lover,” as he explored the theme of subjectivity, and wrote a collection of 88 poems Silence of the Lover. After modern philosophy pursued a subjectivity that excludes others, which has commonly been understood as the world's universal truth, an alternative concept of a subjectivity open towards others and, that is, open towards love of the “lover,” has been demonstrated by Han Yong Un through the metonymy of others. It is a dialectic that seeks the expansion of the encounter, not the expansion of the subject. By intensively analyzing the poems of Silence of the Lover, this study examines how they implement the “encounter.”To Han Yong Un, “lover,” is always the other in a separation. Because Lovers appear in all the poems in Silence of the Lover but are always lost. This is similar to the other with an exhausted face, such as that of a widow, orphan, or stranger, as described by Levinas. At this moment, the appearance of the other, rather than threatening subjectivity, enables one to be reborn as a being that established a productive subjectivity by arousing metaphysical desire.
    The lover is seen from the back by the speaker, who is left behind after separation and loss at the end of despair, who is left behind after the despair of loss, becoming another part of the subject. Ironically, the truth of real existence is finally discovered at the time when the subject is atomized. The active liberty of the subject lies in abandoning and giving himself rather than being engaged and immersed. Thus, the subject of whom Han Yong Un is thinking has a transcendence that can be open towards and go over to others. In this manner of “encounter”, “lover who left” becomes the lover who came back. Han Yong-un found power in trying to go beyond the “lover who becomes silent” on the basis of the choice of the subject who sees the “face” of the strange other, and who actively seeks an “encounter.” We expert this to give a new vision to those of us still not free from the lives of oth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