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교 청중으로서의 하나님에 관한 소고 - 바울의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고후2:17, 12:19)를 중심으로 - (A Study of God as Preaching Audience - Focus on Paul’s “speak before God”(1Cor 2:17, 12:19) -)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6.11
28P 미리보기
설교 청중으로서의 하나님에 관한 소고 - 바울의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고후2:17, 12:19)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2호 / 123 ~ 150페이지
    · 저자명 : 김세광

    초록

    이 글은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고후2:17, 12:19)에 나타난 설교의 청취자로서 하나님에 관한 고찰을 통해 설교 청중에 관한 중요한 설교학적 의미를 찾고자하는 목적이 있다. 바울이 여기서 철저히 인식하고 있는 설교 청중으로서의 하나님 이해를 밝히기 위해 본문의 배경과 당시 고린도 교회 상황에 대해 면밀히 관찰하며, 바울 설교에 대한 청중들의 비판과 정죄가 타당한 것인지에 대한 것을 살핀다. 설교 청중으로서의 하나님 이해는 설교사역의 본질과 설교자의 위치와 역할에 대해 새로운 신학적 안목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설교 청중에 대한 다차원적인 이해와 복음적 설교를 위한 성실한 노력과 설교자로서의 지녀야할 영성을 깨우치기 때문이다. 이것을 위해 고린도후서 본문에서 밝힌 바울의 선언에 대한 해석과, 칼 바르트, P. T. 포사이드, 루돌프 보렌, 마이클 퀴크의 설교신학적 통찰, 존 스토트, 윌로우 크릭의 빌 하이벨스와 같은 현대 설교자들의 하나님의 임재에 대한 강조 등을 고찰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얻게 되는 결론은 첫째, 바울의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는 선언에는 소명의식, 윤리의식, 임재 의식이 담겨 있다. 둘째, 설교가 하나님 앞에서 행해진다는 철저한 인식은 바울 특유의 것만은 아니며, 구약 예언자 전통에서부터 나온 것으로 예레미야 선지자의 고백에서도 잘 나타난다. 셋째, 바울의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의 고백은 설교 청중으로서 하나님을 지칭함으로 설교 청중을 일반 연설의 청중처럼 여겼던 기존의 개념에서 새로운 차원의 청중 이해를 가져온다. 넷째, 바울의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의 설교학적 적용은 ‘첫째 청중으로서 하나님과 둘째 본문으로서 청중’이라는 명제를 제시하며 ‘설교는 인간을 위한 말이기 전에, 새로운 창조자에 대한 말인데 하나님도 듣고 계시는 말’이라고 말한 루돌프 보렌에게서 잘 드러난다. 다섯 째, 전통설교학과 신설교학의 긴장 속에서 제3의 대안적 관점 즉, 각각의 공헌을 유지하며 균형있는 설교 지평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여섯 째, 설교를 청취하는 하나님 이해, 즉 설교의 주요 청중이 하나님이시라는 개념은 설교가 인간을 향하기 이전에 하나님을 대상으로 하는 설교, 즉 하나님을 향한 설교가 된다는 의미다. 이런 하나님을 향한 설교라는 낯선 개념은 키에르케고르가 예배상황에서 설교자와 하나님 역할을 극장 상황으로 볼 때 프롬터로서의 설교자와 관객으로서 하나님으로 비유한 것에 매우 잘 부합한다. 일곱 째, 바울의 ‘하나님 앞에서 말하노라’는 그의 설교의 성격이 예배로서의 설교이면서 또한 기도로서의 설교의 성격을 지녔다는 것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설교자의 성실한 설교의 피드백은 설교자가 하나님 앞에 서서 설교하고 있다는 의식에 철저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가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forth new insights on the essence of preaching by examining the role of God as listener in the context of Paul's ‘speak before God’ in 2 Corinthians 2:17 and 12:19. In order to examine Paul's invocation of God as a listener of the preacher's sermon, this paper looks closely at the grounding background of the text and the context of the Corinthian church in order to analyze whether criticism and rejection of Paul’s preaching ministry was warranted. Understanding God as a listener of the sermon provides new theological perspective on the essence of the preaching ministry and the position and role of preacher. It changes the one-dimensional static understanding of the congregation as listeners to a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audience and evokes the faithful effort of evangelical preaching and spirituality for preache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reviews the interpretation of Paul’s declaration, the homiletical insight of preaching theologians, including the views of Karl Barth, P. T. Forsyth, Rudolf Bohren, and the emphasis of the presence of God by modern preachers such as John Stott and Bill Hybel.
    The conclusio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claration, ‘speak before God’ contains vocational awareness, ethical awareness, and presence awareness. Second, the recognition that preaching is done before God is not Paul’s own, but comes from the prophetic tradition of the Old Testament, especially from Jeremiah’s confession. Third, Paul’s ‘speak before God’ brings forth the new dimensional understanding of a preaching audience, in which God is the primary listener of the sermon. Fourth, the homiletic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God as listener is revealed from Rudolf Bohren who suggests the proposition of ‘God as the first listener and Audience as the second text’ and points out that preaching is foremost for the new creator, and then for the audience. Fifth, the concept of God as the primary listener of preaching suggests preaching toward God. This controversial concept is well persuaded by Kierkegaard’s theater parable of worship, where he depicts preacher and God as prompter and audience instead of actor and prompter (speaker). Sixth, Paul’s saying “speak before God” suggests that his character of preaching has both preaching as worship and preaching as prayer. Lastly, the faithful efforts to evaluate his or her own preaching reveals that he or she keep in mind the concept that preacher speaks before G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