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소년 찬양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내용 분석 ; 래드(George. E. Ladd)의 하나님 나라 이해 중심으로 (A Content Analysis of the Kingdom of God in the Texts of Praise Songs for Adolescents)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8 최종저작일 2015.03
39P 미리보기
청소년 찬양에 나타난 하나님 나라 내용 분석 ; 래드(George. E. Ladd)의 하나님 나라 이해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기독교학문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신앙과 학문 / 20권 / 1호 / 159 ~ 197페이지
    · 저자명 : 현은자, 이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성도들이 예배와 모임에서 자주 부르는 하나님 나라에 대한 찬양들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적절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개혁주의 교단 소속의 교회 주일학교에서 사역하는 사역자들 107인을 통해 하나님 나라의 주제와 관련하여 교회 예배나 모임 중 자주 부르는 찬양을 추천하도록 설문하여 총 31곡을 그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표집된 찬양 가사는 의미 단위로 분절된 뒤, 코딩과 주제화, 범주화 과정을 거쳐 질적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 범주화된 내용들은 성경적 관점과 래드(Ladd, 1982; 1997; 2000)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 내용의 적절성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하나님 나라에 대한 미래성, 현재성, 그리고 이중성의 이해가 총체적이며 다층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 중 미래성에 관한 찬양의 비중이 다소 두드러지는 점은 궁극적인 하나님 나라가 종말론적이라는 래드의 관점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해석되었다. 둘째로 찬양 가사에 반영된 하나님 나라의 묘사적 표현들에 있어서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과의 교제라는 두 측면을 공통적으로 공유하면서 두 나라가 각각 하나님의 통치가 가시적으로 드러나는 점과 비밀스럽게 전개되는 점, 그리고 그 의의 구현에 있어서 각각 완전성과 제한성이라는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그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또 하나님 나라에 들어갈 수 있는 길로서 오직 예수에 대한 믿음이 그 유일한 조건임이 강조되었고 하나님 나라는 그 자체가 생명력이 있어 성장해 가나 이에 더하여 하나님 나라의 임함에 동역하고자 하는 성도들의 삶의 결단이 공로성이 아니라 당위성의 측면에서 가사 속에 다수 구현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확신이 찬양 가사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소망과 확신은 기도로써 드려지는 찬양의 속성을 고려할 때 하나의 그 나라를 앞당기는 간절한 행위로써 이해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의 틀에 적합하지 않은 가사들은 성경과 래드의 이해에 기초를 두고 비판적으로 논의되었고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주일학교 청소년들을 위한 찬양 선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xts of praise songs concerned with the Kingdom of God and to discuss the adequateness of those that adolescents are frequently singing in their wor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otal 31 songs by the survey through 107 religious workers serving in church department for adolescents. Those song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a segmentation into meaning elements, open coding, topicalization and categorization. The categorized contents were discussed based on Ladd(1982; 1997; 2000)’s understanding of the Kingdom of God.
    As a result, there was a balanced reflection in the notions of futurity, nowness and duplicity of the Kingdom. Among them, the songs dealing with the futurity accounted for the highest portion and this result were interpreted as an exact reflection for the Ladd’s idea of that the ultimate future Kingdom of God is fundamentally apocalyptic. And, there were both common and different descriptions between two kinds of notions on Kingdom in the phenomenological portrayals. There were love, rightness, healing, peace in the texts on both Kingdoms. On the contrary, one comes out as a God’s complete and visible reign; the other in secret. One is characterized by the perfect realization of rightness; the other by a limited form. Also, the condition for entering the Kingdom was obviously presented in the songs: that is the faith only towards Jesus Christ and there is no exception. The present Kingdom of God is depicted as growing in itself; however, the co-work with God and the determination of Christians to put forward the Kingdom were strongly reflected as a necessity in those texts. Finally, the texts of the praise songs showed the earnest wish and confidence for the advent of the apocalyptic Kingdom of God and they were understood as a prayer and a driving action for the fulfilling the wish. However, the contents inadequate for the analysis frame above, such as the emphasis on our contribution,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hrases of bible and Ladd’s understandings of the Kingdom of God. Based on those findings, this study speculated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praise songs in adolescents’ wo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8 오전